자율신경검사의 해석과 임상적용
The interpretation and clinical application of autonomic function test
- 대한기능의학회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Functional Medicine
- Vol.5 No. 2
-
2022.1118 - 23 (6 pages)
-
DOI : 10.32581/jkifm.2022.5.2.18
- 264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성되며 심장의 기능, 평활근의 수축과 이완 등을 조율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여러가지 검사 방법들이 자율신경을 평가하기 위해 이용되어 왔지만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 검사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HRV는 정상적인 심장박동 사이의 간격이 얼마나 많은 변이를 보이는가를 평가하는 방법인데, 각 간격들의 표준편차를 구하는 standard deviation of N-N interval이 실질적인 HRV를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시간영역 분석을 Fourier 변환하게 되면 주파수영역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저주파 영역은 주로 교감신경 상태를, 고주파 영역은 주로 부교감신경의 상태를 대변한다.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 분석의 여러 지표들에 대한 표준치는 없지만 몇몇 연구에서 자기 집단 내의 통계치를 제시하였으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HRV저하는 대개 심질환, 감염병, 신경정신계 질환들의 예후인자로 알려져 있는데 저하된 HRV를 교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HRV 바이오피드백이 제시되어 왔다. 또 HRV 검사 결과에 따라 기능의학적 접근도 다소 달라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자율신경계 기능과 HRV에 대해 잘 이해할 때 환자들의 건강 위험도를 잘 평가하고 서로 다른 접근방법들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consists of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components. ANS has a role in heart function and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smooth muscle in various internal organs. Several tests were introduced to assess ANS function. Heart rate variability (HRV) is the most common method to evaluate ANS function. HRV is defined as a physiologic variation between sinus beats, which is calculated into standard deviation of N-N interval. The indices derived from beat-to-beat variation are calculated based on time-domain analysis. Fourier transformation visualizes frequency-based graphs from the time-domain tachograms. Areas in the low frequency represent sympathetic predominant function, while high frequency areas show parasympathetic tone. Despite absence of the reference ranges of the HRV indices, studies have shown the ranges of the indices in their populations. Decrease in HRV may be a poor prognostic factor for heart disease, infection, and neuropsychiatric disorders. It is reported that HRV biofeedback improved various disorders related to ANS func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HRV tests may guide functional approaches. In conclusion, the awareness on ANS function and HRV may help to provide patients with risk stratification and proper management.
서론
본론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