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2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유아의 놀이에서 발현되는 전시의 양상과 의미

목적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에서 자연스럽게 발현되는 전시를 살펴보며 유아가 주도하는 전시가 나타나는 양상과 그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3개월간 만 4세반 학급 18명의 유아를 참여 관찰하였고, 교사⋅유아 인터뷰, 보육일지, 가정통신문, 담임교사의 관찰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사례를 중심으로 ‘전사―코딩―주제생성’의 과정을 거쳐 의미있게 기술된 대화를 추출하여 맥락에 따라 5개의 영역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유아의 목적과 의도에 따라 전시 모습은 ‘오로지 나를 위한 관객이 없는 전시’, ‘누군가에게 보여주고 싶은 전시’, ‘이어서 놀기 위한 전시’,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전시’, ‘소유하기 위한 전시’로 범주화되었다. 유아가 주도하는 전시는 자신만 아는 비밀스러운 개인적인 전시, 어린이집의 구성원들과 소통하며 변화하며 확장되는 전시, 이어서 놀기 위해 또는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전시, 소유하기 위한 전시와 같이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새롭고 다채로운 양상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놀이는 유아가 선택한 하나의 장면으로 전시되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놀이의 변화에 따라 전시가 새롭게 바뀌면서 놀이와 전시가 순환하는 모습은 유아가 세상과 소통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의미가 있었다. 결론 유아의 전시는 단순히 작품의 결과물을 타인에게 보여주기 위한 마지막 절차가 아니라 놀이가 이어지며 나타나는 실험과 도전을 담은 과정이었다. 유아는 놀이에서 발현되는 전시를 통해 자신이 무엇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표상으로 드러내고, 그것을 자기만의 방법으로 전시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해가기도 하였다. 이는 유아의 성장과 배움이 강조되고 있는 지금 유아가 주도하는 전시를 통해 유아가 어린이집 공간을 대하고 활용하는 관점을 이해하고, 유아의 자유로운 전시를 지원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 함을 의미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the exhibitions that are naturally expressed in children's play, and to see how children-led exhibitions appear and what their meanings are. Methods From November 21, 2019 to February 21, 2020, 18 children in a 4-year-old class participated and observed at a workplace daycare center located in Seoul. Data was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cases, meaningfully described dialogues were extracted through the process of ‘transcription-coding-topic generation’, and analyzed by categorizing them into 5 areas according to context. Results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intention of the children, children's exhibitions are ‘exhibits without an audience only for me’, ‘exhibits that I want to show to someone’, ‘exhibits to play afterwards’, ‘exhibits to keep safely and to possess’. It was categorized as ‘Exhibition’. From secret private exhibitions that only oneself knows, to the types of exhibitions that change and expand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members of the daycare center (children, teachers, parents, etc.), they appeared in a new and colorful appearance as they gradually changed. Children's play was exhibited as a single scene, and as time passed and the exhibition changed again, the circulation of play and exhibition was meaningful as a way for children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Conclusions Children's exhibitions were not simply intended to show the outcome of the work, but were a process that contained experiments and challenges that followed by play. Through exhibitions expressed in play, children expressed what they were interested in as a representation, and exhibited them in their own way to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By paying attention to the value of exhibitions led by children as a process of play where children's learning takes place, teachers should support children so that they can exhibit them in any way they wan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