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학습컨설팅을 위한 학습 스타일 진단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Learning Style Diagnostic Tool for Customized Learning Consulting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2권 22호
-
2022.11735 - 751 (17 pages)
-
DOI : 10.22251/jlcci.2022.22.22.735
- 550

목적 본 연구에서는 H대학교 맞춤형 학습컨설팅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스타일 진단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학습스타일 진단 도구 개발과 관련한 문헌 분석을 바탕으로 학습스타일 진단 도구(안)을 도출하고, H대학교 소속 대학생 366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시행하였다.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진단 도구 내 각 구인타당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시행하였으며, H 대학교 특성을 반영하여 캠퍼스 및 학년별 통용할 수 있는 도구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집단별 평균차이 검증을 시행하였다. 결과 학습스타일 진단 도구는 학습 태도 차원에서 계획형과 직관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 4개 문항, 학습 동기 차원에서 외적 동기형과 내적 동기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 6개 문항, 학습 내용 차원에서 교양지향형과 전공지향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 4개 문항, 그리고 학습 방법 차원에서 소그룹학습 지향형과 개별학습 지향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 4개 문항, 총 18개 문항으로 구성된 진단 도구가 개발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타당화한 학습스타일 진단 도구는 학생 스스로 본인의 학습 경향을 확인해 자기주도적 학습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가능하며, 교수자에게는 수업 설계 시 학습자 특성을 반영하여 효과적인 수업 운영을 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learning style diagnostic tool to support the Customized learning consulting of H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o this end, a learning style diagnosis tool(propsal) was derived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style diagnosis tool, and to measure the vitality of the diagnosis tool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366 college students belonging to the rel event universit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tool was measured through factor analysis of the preliminary survey results and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verifi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H University. Results The learning style diagnosis tool was developed with 4 questions that can be divided into planned and intuitive types in terms of learning attitude, 6 questions that can be divided into external and internal motivations in terms of learning motivation, 4 questions that can be divided into liberal arts-oriented and major in terms of learning content, and 4 questions that can be divided into small group learning oriented and individual learning oriented in terms of learning methods, a total of 18 questions. Conclusions The learning style diagnosis tool valida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self-directed learning plan by checking the students’ own learning tendency and is expected to be used for effective class management by reflecting learner characteristics when designing class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