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한국어 어휘에 나타나는 축자적 의미와 맥락적 의미를 의미・화용론적으로 구분하고 맥락적 의미를 형성하는 맥락의 유형을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어휘의 축자적 의미는 구성성분이 함의하는 의미이며 대부분의 종속합성 수식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어휘의 맥락적 의미(α)는 구성성분이 함축하는 의미로 차별되며 그 유형에는 ‘임시 α’와 그것이 관습화되어 축자적 의미로 굳어지는 ‘고정 α’가 있다. 단어형성론의 주요 연구 대상인 임시 α를 형성하는 맥락에는 사회적 관념 및 개인적 변인을 포괄하는 ‘화맥’과 텍스트 차원의 ‘문맥’이 달리 존재한다. 이러한 발견은 어휘부에서 맥락에 따라 의미가 형성되는 과정을 보다 체계적으로 표상해 줄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scope of context forming lexical meaning by discussing the difference between literal and contextual meanings in the Korean lexicon from a pragmatic and sociolinguistic view. Literal meaning is the entailed meaning of the constituents, while contextual meaning is the implied meaning of the constituents, with the former including most subordinate compounds. In contextual meaning (α), there is temporary α as well as the more stabilized conventional α. Unlike conventional α that have already solidified into literal meaning, temporary α is actively being formed in both extralinguistic contexts, such as social stereotypes and personal variables, and intralinguistic contexts. The findings in this article can help systematically represent the mental process of context forming lexical meaning.
1. 서론
2. 어휘의 축자적 의미와 맥락적 의미
3. 맥락적 의미의 두 가지 유형
4. 결론
참고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