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론 24권 2호.jpg](http:///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268/268312.jpg)
Nakagawa, Information Structure in Spoken Japanese: Particles, Word Order, and Intonation (2020)에 대한 검토
A review of Nakagawa(2020), Information Structure in Spoken Japanese: Particles, Word Order, and Intonation
본고는 나츠코 나카가와의 2020년 저서 『Information Structure in Spoken Japanese: Particles, Word Order, and Intonation』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고 문제점을 짚어보며 한국어 정보구조와 비교할 만한 주제들을 살펴보았다. 이 책은 자연발생 일본어 말뭉치(CSJ)를 자료로 하였으며, 프린스(1981)의 가정된 친숙성 위계를 수정한 지시적 정보지위의 틀과 ‘논란가능성’으로 정의되는 화제와 초점 개념을 채택하였다. 화제 첨사 ‘toiuno-wa’, ‘wa’, ‘계사-kedo/ga’, ∅는 주어짐-새로움 위계의 각기 다른 영역을 담당하고, 초점 첨사 ‘ga’, ‘o’, ∅는 명사구의 문법·의미적 특성 및 초점의 종류와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하였다. 화제는 절 시작 위치에서 그리고 구 억양 단위에서, 초점은 서술어 바로 앞에서 그리고 절 억양 단위에서 실현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논의에서 드러나는 주요 문제점으로, 화제 및 초점 표지를 판별하는 논의가 부재하다는 점, 억양 단위와 정보 지위의 상관관계가 보다 정교하게 기술되어야 한다는 점, ‘정보구조 연속성 원칙’은 재고의 여지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한국어와 일본어의 정보구조를 비교하는 후속 논의로 격 첨사와 초점의 관계, 화제 표지 ‘touino-wa’와 ‘(이)란’의 비교를 제안하였다.
As a review of Nakagawa(2020), Information Structure in Spoken Japanese: Particles, Word Order, and Intonation, this article summarizes its main contents, points out its problems, and examines topics comparable to the Korean information structure. Nakagawa(2020) is mainl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rpus of Spontaneous Japanese, and uses the frame of referential information status which is a modified version of Prince(1981)’s assumed familiarity taxonomy and the category of topic and focus defined according to ‘controversiality’. The topic particles such as toiuno-wa, wa, COP-kedo/ga, and ∅ are shown to be distributed in different scopes of given-new taxonomy, and the focus particles such as ga, o, and ∅ are claimed to be correlated with the grammatical and semantic properties of NP and the type of focus. Topic and focus are claimed to appear clause-initially and right before the predicate, respectively, and to tend to be uttered in phrasal IUs (intonational units) and clausal IUs, respectively. We point out several problems of Nakagawa(2020) that it needs full discussion of discriminating topic and focus markers,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Us and informational status, and reconsidering of so-called information-structure continuity principle. For comparative study of information structure of Korean and Japanese, we pro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se particles and focus, and to compare a Japanese topic marker toiuno-wa and a Korean topic marker (i)ran.
1. 서론
2. 논의의 주요 내용
3. 주요 문제점
4. 한국어와의 비교·대조 연구 제안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