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전소설 대중화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popularization of classical novel: An analysis of cases

DOI : 10.20516/classic. 2022.59.57
  • 119

첫째, 연관 검색어 분야에서 한국 고전소설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은 ‘춘향전’ 정도로 매우 빈약하다. 이미지 역시 교육자료를 제외하면 『고전소설 오디세이』 정도가 첫 화면에 등장하고 동영상도 마찬가지로 교육자료를 제외하면 대중화된 영상은 등장하지 않는다. 관련 뉴스 역시 보도자료를 배포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고전소설 관련 도서도 보도자료를 배포하는 기관의 출판물 정도가 언급되었다. 특히 2021년 1월 1일부터 2022년 8월 16일까지 교보문고 베스트셀러 목록에 고전소설 관련 도서는 없었다. 둘째, 서점에서는 이미 고전소설 이론서 및 대중서가 모두 서가에서 빠져 있었다. 고전소설이라는 키워드가 대중들의 시선에서 조금씩 지워지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설문조사에서도 고전소설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의 정도가 낮았다. 고전소설 독서량은 매우 부족하고, 독서 경향은 단순하였다. 다만 희망적인 것은 고전소설 관련 대중서와 강연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셋째, 임치균의 조선시대 왕실소설 과련 강연은 수강생들의 반응이 매우 좋았고, 만족도 조사에서 굉장히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예덕선생전〉을 대상으로 제작된 동영상인 경우 고전소설이라는 키워드보다는 생활상에 더욱 주목하고 있었다. 넷째, 이후남의 『요망하고 고얀 것들』을 통하여 흥미로운 요괴와 그 요괴의 이미지를 통하여 다양한 고전소설을 알게 되었다는 내용들이 등장한다. 이것은 고전소설의 이미지화를 바탕으로 캐릭터 개발의 가능성을 직접적으로 보여주었다. 신병주·노대환의 『고전소설 속 역사여행』에 대한 온라인 상의 반응들을 통하여 고전소설과 조선시대 역사·문화적 현상과의 연결이 주는 긍정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고전소설 전공자가 대중화에 직접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분야는 많지 않았다. 고전소설을 현대어로 번역하는 것이 중요하고, 고전소설을 대상으로 한 유튜브 영상 제작, 대중서 출판, 강연 프로그램 운영이 가장 현실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First, in the field of related search terms, it is as poor as ‘Chunhyangjeon’ that is directly related to Korean classical novels. Except for educational materials, about 『the classic novel Odyssey』 appears on the first screen, and as for videos, popularized videos do not appear except for educational materials. Related news is also not receiving attention except for distributing press releases. Books related to classical novels also mentioned the degree of publications of institutions that distribute press releases. In particular, from January 1, 2021 to August 16, 2022, there were no books related to classical novels on Kyobo Bookstore’s best seller list. Second, in bookstores, both classical novel theory books and popular books were already missing from bookshelves. It proves that the keyword “classical novel” is gradually being erased from the public’s eyes. In the survey, the degree of overall awareness of classical novels was low. The reading volume of classical novels was very insufficient, and the reading tendency was simple. However, what is hopeful is that there were many demands for popular books and lecture programs related to classical novels. Third, Lim Chi-kyun’s lecture on royal novels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very well received by the students and showed very high satisfaction in the satisfaction survey. In the case of videos produced for “the Story of Yedeok Teacher”, they paid more attention to life than the keyword of classical fiction. Fourth, through Lee Hu Nam’s 『Monsters』, there are contents that he learned various classical novels through interesting monster and its image. This directly showed the possibility of character development based on the imageization of classical novels. Through online reactions to Shin Byung-joo and Noh Dae-hwan’s 『History Travel in Classical Fiction』 the positive effect of connecting classical novels to historical and cultural phenomena of the Joseon Dynasty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is analysis, there were not many areas where classical fiction majors could directly contribute to popularization. It was found that translating classical novels into modern languages is important, and YouTube video production, publication of a popular book, and operation of lecture programs are the most realistic methods.

1. 서론

2. 고전소설 인식 양상

3. 강연과 영상자료를 통한 대중화

4. 출판을 통한 대중화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