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住宅硏究 第30卷 第4號.jpg
KCI등재 학술저널

공공임대주택 선발 국가들의 정책 경험과 우리나라의 정책 방향

2차 대전 종전 이후 많은 선진국들은 공공임대주택을 주거안전망 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복지정책 차원에서 발전시켜 왔다. 그러나 30여 년간의 확대 이후 대부분의 선발 국가들은 민간주택시장의 발달과 재정제약 등을 이유로 공공임대주택 정책을 축소, 후퇴하게 된다. 반면 우리나라는 선발 국가들에 비해 뒤늦게 공공임대주택 정책을 시작하여 여전히 확대하고 있는 중이다. 우리나라 공공임대주택 정책은 선발 국가들과는 달리, 주택시장 불안과 그를 해결하기 위한 주택 대량공급이 가장 중요한 정책 동력이라는 특징이 있다. 향후 상당 기간 공공임대주택을 늘리려는 양적인 목표는 별다른 변화가 없겠지만, 그러나 질적인 변화는 충분히 예상된다. 이 논문은 선발 국가들이 먼저 경험했던 공공임대주택 정책 변화에 비추어 우리나라의 위치와 성격, 정책 과제를 생각해 보고자 했다. 선발 국가들의 경험을 감안하면, 우리 공공임대주택 정책의 양적인 목표는 전체 가구의 10%로 상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입주대상 다원화라는 한국적 특징은 유지할 필요가 있다.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주거급여와 공공임대주택의 관계는 시급히 정립해야 된다. 또 현재 우리나라 공공임대주택 통계에 성급한 기대가 반영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우선 전세임대를 임대료 보조제도의 하나로 분류할 것도 제안했다.

Since the end of the World War II, many advanced countries have developed public rental housing not only as a residential safety net but also as an active welfare policy. However, after 30-40 years of expansion, most of the advanced countries have reduced or retreated from public rental housing policie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private housing market and financial constraints. On the other hand, Korea started its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late compared to the advanced countries and is still expanding it. Korea's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differs from the advanced countries in that housing market instability and the mass supply of housing to resolve it are the most important policy drivers. This paper tried to consider Korea's position, characteristics, and policy tasks in light of the changes in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in the advanced countries. Considering the experiences of the advanced countries,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quantitative target of our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is 10% of all households, an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Korean characteristic of diversifying the number of tenants.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benefits and public rental housing needs to be established urgently. In addition, pointing out that hasty expectations are reflected in the current public rental housing statistics in Korea, this paper proposed to classify Jeonse public rental as one of the rental subsidy systems.

Ⅰ. 서론

Ⅱ. 선발 국가들의 공공임대주택 정책 전개와 차이

Ⅲ. 선발 국가들의 공공임대주택 정책 경험과 시사점

Ⅳ. 후발 국가로서 우리나라의 공공임대주택 정책 경험

Ⅴ. 한국적 공공임대주택 정책 방향의 모색

Ⅵ.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