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46집 4권.jpg
KCI등재 학술저널

디지털 컨텐츠 창작 프리랜서의 일-삶 균형과 경계관리활동

Digital Contents Creators’ Work-Life Balance and Boundary Work: Grounded Theoretical Analysis of Webtoonists’ Experience

DOI : 10.36459/jom.2022.46.4.167
  • 222

본 연구는 플랫폼 노동자들이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루는 데 직면하는 도전을 다루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연구들은 피고용인의 신분을 가진 전형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반면, 플랫폼 노동자와 같은비전형적 노동자가 과연 일-삶 (불)균형을 어떻게 경험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주목하지 않았다. 본논문은 웹툰 작가 9명을 대상으로 근거이론에 따라 면접자료를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 독자(고객)의평가 시스템, 프리랜서로서의 고용불안과 같은 플랫폼 노동의 변별적 특성들이 노동자의 일-삶 갈등을초래한다. 독자(고객)의 평가 시스템은 작가들이 자발적으로 노동시간을 연장하고 노동강도를 강화하도록 이끈다. 또한 작가들은 고용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과중한 업무를 수행한다. 본 연구는경계이론의 관점에서 플랫폼 노동자들이 어떻게 일-삶 균형을 회복하기 위한 전략을 고안하는지도 분석했다. 개인은 일과 삶 간에 부조화가 발생할 때 이를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행위자가 아니라 오히려경계관리활동(boundary work)을 통해서 일과 삶의 경계를 확립함으로써 양 영역 간의 균형을 회복하고자 시도한다. 사람들은 일과 삶의 영역을 명확하게 구분짓고 양 영역에서의 역할이 결코 겹치지 않도록 관리하거나, 또는 두 영역을 통합하여 각 영역에서의 역할들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웹툰 작가들은 일과 삶의 영역을 분리하는 전략을 선호했는데, 잡 크래프팅과 공간적·시간적 경계관리를 수행했다. 크게 보면 전통적인 피고용자들의 전략과 달라 보이지 않지만 세부적인 전략의 수준에서는 차이가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노동자의 성공적인 경계관리전략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제도 및 정책을 제안함으로써 플랫폼 노동자의 보호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explore platform workers’ challenges in achieving work-life balance. While past studies have focused on typical employees,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how irregular workers including platform workers experience work-life balance. This paper analyzed interview data created by 9 webtoonists using grounded theory. This study found that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platform labor such as readers’ evaluation system and job insecurity cause work-life conflict. The readers’ evaluation system embedded in the webtoon websites leads webtoonists to extend their working hours and strengthen labor intensity. In addition, webtoonists tend to perform heavy tasks to relieve employment anxiety.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how platform workers devise strategies to restore work-life balance using boundary theory. Webtoonists are not passive actors who accept the im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Instead, they attempt to restore the balance between the two areas by establishing the boundaries of work and life. Recent studies have pointed out that people can distinguish between work and life domains or integrate the two areas. This study found that most webtonnists preferred the segregation of work and life domains. They performed job crafting, and spatial and temporal boundary management to segregate the work-life domains. Finally, this study proposes the policies that support platform workers’ successful boundary work.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토론과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