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에서의 쓰기 피드백 관련 연구논문의 동향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피드백이 더욱 발전하기 위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2000년부터 2022년 8월 현재까지 발표된 총 108편의 연구논문의 주제어를 추출하여, 연도별 연구 현황을 비롯하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 빈도분석, 연결 구조 및 응집 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Net-Miner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일차적인 빈도분석에 머물던 선행 연구에서 더 나아가 그 이면에 존재하는 관계성이나 구조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시각화시켜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시기별 연구 동향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는데, 그 기준을 한국어교육의 흐름 속에서 변곡점이 되었던 국가 정책과 사회적 현상을 기점으로 삼아 한국어 쓰기 피드백 연구가 시기별로 어떤 다양성과 유연함을 보이며 상호작용해 왔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한국어교육에서의 쓰기 피드백 연구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주제어는 ‘교사 피드백’, ‘동료 피드백’, ‘과정 중심 쓰기’, ‘명시적 피드백’이었고, 연결 중심성이 높은 주제어는 ‘교사 피드백’, ‘상호작용’, ‘온라인 수업’, ‘학문 목적 쓰기’로 나타났다. 주제어 간 응집 구조 분석 결과, 한국어교육에서의 쓰기 피드백 연구 동향은 ‘교사 주도의 쓰기 피드백의 유형별 효과 연구’,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온라인 기반의 쓰기 피드백 연구’,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 목적 쓰기 교육을 위한 쓰기 피드백 연구’라는 세 개의 클러스터로 응집되었다. 또한 이 세 개의 클러스터는 시기별 연구 동향과 주제어 면에서 일치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시기별 연구 동향이 전체적인 연구 동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쓰기 피드백에 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 조사와 함께 교사의 피드백 교육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둘째, 쓰기 피드백 연구 대상자의 다양성, 셋째, 쓰기 피드백의 단계적 접근에 대한 필요성, 넷째,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서의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연구에 관한 필요성을 후속 논의의 방향성으로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trends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writing feedback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present research direc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of feedback for Korean writing education. A total of 108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August 2022 were extracted, and frequency analysis, connection structure, and aggregation structure were analyzed focusing on network text analysis, including annual research status. The Net-Miner 4.0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and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and structure behind it were analyzed and visualized in various ways to make it more intuitive to understand.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trends by period, and based on national policies and social phenomena, which were inflection points in the flow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wanted to see how diverse and flexible Korean writing feedback research has been interacting with each peri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keywords in the study of writing feedback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teacher feedback', 'colleague feedback', 'process-oriented writing', and 'explicit feedback' were found to be 'teacher feedback', 'interaction', 'online class', and 'academic purpose writ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hesive structure between keywords, the trend of writing feedback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aggregated into three clusters: 'Study on the effect of teacher-led writing feedback by type', 'Online-based writing feedback study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Study o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of foreign students'. In addition, these three clusters are often consistent in terms of research trends and keywords by period, indicating that research trends by period are closely related to overall research trend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first,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eacher feedback education, second, diversity of writing feedback research subjects, and fourth, the need for practical and specific research in terms of learners' definition are suggested as directions for subsequent discussions.
목차
Ⅰ. 서론
Ⅱ. 쓰기 피드백의 개념과 유형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9)
- 从新词语的角度研究中国青年的婚姻观
- 이원의 시로 본 포스트휴먼
- 베르베르와 예루살렘 관계를 통해서 본 ‘갈등과 공존’의 메커니즘 양상
- 해역의 시각에서 보는 동아시아의 산업화와 원조
- 1960~70년대 영국의 대한(對韓)기술지원
- 교육감 선거 체제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 日韓両言語における 高頻度外来語の使用実態に関する対照研究: 9年間(2013年から2021年まで)の新聞社説を基に
- 동북아 문화냉전시기 미국의 對 대만 교육 원조
- 다의성에 따른 확장된 어휘 단위 양상 연구
- 핵부가에 대한 병합(MERGE)접근법적 분석
- 톈진의 도시 정체성을 위한 서사적 재현과공간적 실천
- 노년기 행복감 증진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에 관한 고찰
- 인구집단별 비정규직 비중과 코로나19 위기 중 고용 증가율 간 관계
- 코로나19와 공적 공간의 회복
- 지식 체계로서의 뉴스
- 日本語教育の観点から日韓翻訳を考える
-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4호 목차
- 항행선박의 연안 고정식 부유물과의 해양사고에 대한 고찰
- 한국어교육에서의 쓰기 피드백 연구 동향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