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생명연구 제66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중장년 기혼남녀의 위험음주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완충효과

The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Drinking and Depression in Korean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본 연구는 중장년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위험음주와 우울 간의 선행요인 관계를 밝히고 그 관계를 기반으로 사회적지지, 가족지지, 친구지지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여 중장년 기혼남녀와 그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을 통한 조사자료에 2인 이상의 가족구성을 한 702명을 대상으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위험음주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 관계에서 사회적지지가 상호작용효과를 갖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위험음주가 우울에 선행하여 우울의 유발요인이 되는데 이는 독성가설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둘째, 학력과 소득이 높고 정규직일수록 우울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험음주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사회적지지, 가족지지와 친구지지가 높은 그룹에서는 위험음주가 높아지더라도 우울의 높아짐 정도에 완만함을 보였다. 넷째, 위험음주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세 가지 지지모형과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여성의 경우에 한하여 친구지지에서 완충효과의 통계적 유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중장년 기혼남녀의 위험음주와 우울, 사회적지지에 대한 사회복지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and their familie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drinking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and by exploring the buffer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family support, and friend support based on the relationship. There is thi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702 people who have a family of two or more in the online survey data.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risk drinking had an effect on depression and whether social support had an interactive effect in this relationship. The main results are: First, risk drinking precedes depression and becomes an inducer of depression, which supports the toxicity hypothesis. Second,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the lower the depression. Third, in the influence of risk drinking on depression, in the group with high social support, family support, and friend support, even if risk drinking increased, the degree of depression was moderately increased. Fourth, in the analysis of the three support models and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gender in the effect of risk drinking on depression, it was found that only in the case of women, the buffer effec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riend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for risk drinking,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in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