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노년학 제42권 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시니어의 라이프스타일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nior's Lifestyl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Control Behavior

DOI : 10.31888/JKGS.2022.42.6.1051
  • 238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연구는 시니어의 라이프스타일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건강통제행위가 이들 관계에 미치는 매개 효과를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50대, 60대, 70대 시니어를 대상으로 2021년 7월 18일부터 8월 2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코로나 19 펜데믹 상황)를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12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 27.0과매개 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니어의 라이프스타일이 건강증진행위에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건강통제행위가 건강증진행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라이프스타일과 건강증진행위 관계에서 내적, 타인의존 건강통제행위가 매개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라이프스타일과건강증진행위 관계에서 우연 건강통제행위는 매개 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우연 성향의건강통제행위가 높은 경우에 건강 유지를 위해서는 내적, 타인의존 건강통제행위로 변화할 필요성을 시사했으며, 본 연구에서 검증된내적⋅타인의존, 우연 건강통제행위의 성향의 정도를 진단받고 교육받는 실행 연구를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nior lifestyl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control behavior on these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under Corona 19 Pendemic Situation) was conducted from July 18 to August 20, 2021 for seniors in their 50s, 60s and 70s, and finally 412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for Win 27.0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enior's lifestyle had a positive effe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Second, health control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 and other dependent health control behavior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accidental health control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changing into internal and other dependent health control behaviors in order to maintain health when the health control behaviors of accidental tendencies are high. In this study, the degree of internal and other dependent health control behaviors and the degree of tendency of accidental health control behaviors were diagnosed and educat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