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3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성인발레 참여자의 진지한 여가, 삶의 질, 그리고 재미 간 관계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발레 아마추어들의 진지한 여가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재미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성인 발레 아마추어들 동호인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설정한 후 편의표본추출법을 활용하여 표집하였다. 설문지 회수 결과 총 308부의 자료를 본 조사 분석에 사용하였다. 진지한 여가, 삶의 질 및 재미요인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성인발레 아마추어들의 진지한 여가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재미요인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상호작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지한 여가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진지한 여가의 하위 요인인 보상요인과 전문성요인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발레 아마추어들의 재미요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는 재미 요인의 하위 요인인 유능성 자각요인과 연습과 혜택요인, 가족지원요인, 클럽분위기 요인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지한 여가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재미 요인의 조절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재미 요인이 진지한 여가가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완충하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rious leisure and quality of life factors of adult ballet amateurs in order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fu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ious leisure and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ampl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collection, a total of 308 copies of data were used for this surve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variables,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demographic variables. Interac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 of fun factors in the serious leisure and quality of life of adult ballet amateu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ious leisure and quality of life, compensation factors and professional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quality of lif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ballet amateurs' fun factors and quality of life,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fun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quality of lif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fun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ious leisure and quality of life, there w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that buffered the negative (-) effect of serious leisure factors on quality of life.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