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들의 건강관련체력, BDNF와 인지기능의 상관관계
- 윤병곤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 제13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11
- 47 - 54 (8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을 대상으로 건강관련체력, 뇌신경인자 그리고 인지기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B 광역시에 거주하는 노인 58명(남자 27명, 여자 31명)을 대상으로 건강관련체력(6-min walking, 30-second chair stand, back scratch), 신체조성(BMI, % fat), 혈액분석 그리고 인지기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변인들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심폐지구력, 근력, 유연성. 인지기능검사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BMI 수치와 체지방률은 체력요인들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체지방률은 BDNF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심폐체력과 근력은 인지기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유연성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들의 인지기능저하 및 치매예방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은 심폐체력, 근력, 그리고 체지방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할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correlation among the health-related fitness, BDNF, and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27 male and 31 female participants who live in B city were performed health-related fitness test, body composition, blood analysis, and cognitive functional test. It was us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o verify th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Cardiorespiratory fitness,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the score of cognitive functional test decrease according to aging.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BMI and health-related fitness factors. However, % of body fa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DNF.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muscle strength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ognitive function, but flexibility was no relation with cognitive function. In conclusion, The exercise program which is to prevent from decreasing cognitive function and dementia for elderly may consist of improving cardiorespiratory fitness, muscle strength, and % of body fat.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