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커피브랜드 앱의 개인화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위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이 신뢰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Risk,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for Coffee Brand Mobile Apps on Trust and Continuance Intention: Applying Privacy-Calculus Theory and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모바일 마케팅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외식산업에서의 브랜드앱의 개인화서비스에 대한 고객들의 반응 및 고객행동을 프라이버시 계산이론과 기술수용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하여 브랜드앱의 개인화서비스에 대한 고객들의 지각된 위험, 지각된 유용성 및 지각된 용이성이 브랜드앱에 대한 신뢰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이와 함께, IPA분석을 통하여 개인화서비스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실시하였다. 브랜드앱의 이용경험이 있는 431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IPA 분석결과 여러 가지 개인화와 관련된 기능들 중 ‘모바일앱을 나의 취향에 맞게 꾸밀 수 있는 기능’이 높은 중요도에 비하여 실행도가 낮아 마케팅 노력을 집중해야 할 부분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위험은 브랜드앱 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은 브랜드앱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앱 신뢰는 행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외식기업에서의 브랜드앱을 통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시사점 및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paper examined the responses of consumers toward personalization of branded mobile apps in the context of the coffee industry based on privacy-calculus theory and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Specifically, the current research identified the effects of a consumer’s perceived risk,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for personalized branded mobile apps on trust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apps. Also this paper perform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 total of 43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participants who had used coffee brand mobile apps and these samples were analyz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hile consumer’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positively influenced trust in mobile apps, the perceived risk negatively influenced trust in mobile apps. Second, trust in mobile apps positively affected the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apps. These findings offer sever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strategies for the further personalization of branded mobile apps.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