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가족돌봄자들의 스트레스 대처과정에서 신체여가활동의 역할에 관한 이해

Understanding the Role of Physical Leisure Activity in Stress Coping Process for Family Caregivers

본 연구는 가족돌봄의 만성적인 스트레스 환경에 대한 적절한 대처 방안으로 신체여가활동을 제안하고, 그 역할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인간이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는지” 중점을 두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돌봄과 관련하여 외부에서 4시간 이하의 도움을 보조 받는 장기요양등급의 가족 구성원을 돌보며 지속적으로 신체여가활동에 참여해 온 가족돌봄자 8인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5월부터 10월까지 수행하였고, 인터뷰 진행은 반(半)구조화된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가족돌봄자들은 신체여가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신체여가활동에의 참여가 일상의 스트레스를 ‘문제중심’, ‘의미중심’으로 대처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가족돌봄자들의 만성적 스트레스 관리 방안으로서의 신체여가활동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통해 가족돌봄자들을 위한 실질적인 상담 및 정책 마련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mmend physical leisure activity as a stress coping strategy for family caregivers who are under chronic stress and to explore its role in the stress coping process. In this study,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is study adopted a phenomenological approach which focused on “what people experience and how they interpret the world.” The interviewees were 8 family caregivers who had been taking caring of their family member. These family members were patients in need of long-term care who received social nursing care services for less than 4 hours a da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October 2016, and a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 structured the interviews.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showed that family caregivers who had been involved in physical activity were able to continuously relieve their stress and experienced positive emotions. This implies that physical activ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ir ‘problem-focused’ and ‘meaning-focused’ coping strategies for managing their daily stress. Finally,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practical counseling and policy development for family caregivers through a deep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physical activity as a means of chronic stress management for family caregivers.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