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호관찰 대상자가 참가한 템플스테이 체험의 사회심리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험 전과 체험 직후 그리고 한 달 이후의 세 가지 시점에서 보호관찰 대상자의 심리적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의 협조를 받아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총 9개 보호관찰소의 보호관찰 대상자 78명을 대상으로 반복측정 연구를 진행하였다. 2015년 9월부터 12월에 걸쳐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설문은 응답자에게 조사목적을 설명한 후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체험 전 조사는 템플스테이 운영사찰에 도착한 직후에 이루어졌고, 체험 직후 조사는 회향식 말미에 수행되었으며, 최종 사후 조사는 템플스테이 체험 이후 4주 후부터 60일이 넘지 않는 시점에서 각 보호관찰소의 협조를 얻어 방문 조사로 진행되었다. 자료분석 결과, 템플스테이 체험으로 인한 보호관찰 대상자의 사회심리적 변화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일반 참가자들과 동일한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는 점과 1박 2일이라는 단기적 체험이 보호관찰 대상자들에게 사회심리적 변화를 유도하는 데는 한계를 유발한 것으로 유추된다. 보호관찰 대상자 등 특별한 영역의 참가자를 위하여 맞춤형 중장기 템플스테이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검증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통해 행정정책 수단이자 사회 내 처우제도 중의 하나인 보호관찰제도를 개선함은 물론 보호관찰 대상자에게도 보다 긍정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o-psychological effects of temple stay experience of the probationers. We examined whether there was any change of psychological states during pre-, post-participation, and one month later. The survey was conducted on 78 probationers of 9 probation stations in total.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5 with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The pre-participation survey was conducted on arriving at the temple, and the post-participation survey was carried out immediately after the temple stay experience. And the final survey was conducted one month after their temple stay. An interesting result was that there were no any significant changes in the probationers’ socio-psychological states over the time periods.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the short-term program provided to the probationers was the same as the program provided to general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mid and long-term temple stay programs optimally centered on exceptional people (e.g., the probationers)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with them more positive effects and to enhance the probation system.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