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8권 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단일임금체계에 대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인식연구

부산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현재 임금체계 문제점 및 단일임금체계 마련 시 고려사항 등을 확인하여, 사회복지 현장에서 실현 가능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단일임금체계’ 마련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시설 종사자가 현재 임금체계에서 어떠한 어려움을경험하고 있으며,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단일임금체계 마련에 대한 인식과 필요로 하는 부분을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초점집단인터뷰는 사회복지직 종사자와 사회복지직 외 종사자 등 33명의 참여자를 6집단으로구성하여, 총 12회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종사자들의 임금체계에 대한 인식은총 8개의 범주 및 20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8개 범주는 ‘운영비 지원 방식의 문제’, ‘적정 임금 적정 인력’, ‘인건비 체계 정비’, ‘수당지급’, ‘종사자 규모기준’, ‘비교직급 설정’, ‘승급/경력체계’, ‘단일임금체계에 대한 우려’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단일임금체계마련 및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eek measures to establish a “unified payroll system for practitione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at may be applied in actual social welfare settings by identifying problems in the current pay structure of such practitioners and seeking points to consider when setting up a unified payroll system. In this respect,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actitione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regarding the current pay structure, and to explore their perceptions of and needs toward the establishment of a unified payroll system. A total of 33 individuals, including both social welfare and non-social welfare practitioners,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and 12 interview session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analysis, eight categories and 20 sub-categories were drawn for the practitioners’ perceptions of pay structure. The eight categories include “problems with the way operating expenses are granted”, “proper wages and human resources”, “modifying labor cost system”, “wage payment”, “standard for the proportion of practitioners”, “setting comparative ranks”, “promotion/career system” and “concerns about unified payroll system”. Based on the aforementioned findings, this study offers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 unified payroll system for practitioners of social welfare.

Ⅰ. 서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