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일제강점기 배경 TV 드라마 ‘경성스캔들’의 식공간 장면 분석

An Analysis of Dining Space o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V Drama ‘Gyeongseong Scandal’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시대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 속의 식공간 장면을 분석하였다. 특히 TV 드라마 중에서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미니시리즈 경성스캔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인터넷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공되는 다시보기 서비스를 이용하여 식공간이 연출된 장면을 정지 화면으로 캡처해서 수집하였다. 그리고 드라마 한 회당 식공간요소가 연출되는 시간을 파악하였고 이미지를 분석하여 식공간 요소가 차지하는 비율과 장소, 시간, 등장인물에 따른 식공간 장면 빈도수를 조사하여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하는 드라마에서 사용되고 있는 식공간요소를 파악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드라마 경성스캔들 속에서 식공간이 나오는 장면의 비중은 약 19%를 차지하였다. 드라마 경성스캔들의 식공간 연출은 장소, 시간, 등장인물의 직업이나 경제상황 등의 요인에 의하여 식공간요소도 다양하게 연출되어 드라마의 전개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식공간 장면이 약 19%의 비율을 차지하지만 시간과 비용이 제한적이라 연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보이는 이미지를 중대시하기 때문에 음식을 과하게 연출하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제한적인 상황에도 불구하고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여 식공간 장면을 연출하려고 노력한 점이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드라마 연출을 할 때 식공간 장면을 단순하게 음식을 먹는 장면이 아닌 시대적인 상황까지 고려하여 촬영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nalyzed dining space used in a Japanese colonial period TV drama. By watching internet-channel services with replay capability, dining space scen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cene captions.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scene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xposure time per episode. By analyzing individual images in detail, the relative importance of dining space in a Japanese Colonial period drama was determined.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dining space utilized in a Japanese colonial period drama will be presented according to deduced results in the conclusion. The quantitative results of this analysis were as follows: 1) The ratios of dining space exposure were 19% for ‘Capital Scandal’. Even though dining space exposure in the drama was 19%, time and costs were limited, so it follows that there were limits to the drama production aspects. 2) Drama production puts more emphasis on images, so there were few examples of exaggerated settings used for dining space scenes. 3) Though there were limited situations, these were enough for the public to identify the effort to produce a dining spa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ven when only producing a dining space, there is now an opportunity to consider more if the periodical aspects of the drama are examined.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