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농촌관광개발에서 사회적 자본의 형성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n Rural Tourism Development: Awareness of the Community Leader

  • 12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농촌관광개발을 추진 중인 2개 농촌마을의 리더그룹을 대상으로 인터뷰한 내용을 바탕으로 사회적 자본에 대한 커뮤니티 리더의 인식을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개 농촌마을의 리더그룹을 대상으로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도출된 키워드 간의 연결관계를 살펴보았다. 인터뷰 분석결과, 구조적 사회적 자본에서는 커뮤니티 조직운영의 투명성과 의사결정과정, 행정과의 관계에서 리더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에 인지적 사회적 자본에서는 커뮤니티 구성원 간의 신뢰와 믿음,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리더의 통합적인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하고 있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사회적 자본에 대한 커뮤니티 리더의 인식은 구조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 모두 동등하게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 구성원을 이끌어가는 커뮤니티 리더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인식은 구조적, 인지적 역량측면에서 다소 미흡하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향후 농촌마을에서 농촌관광개발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에 대한 커뮤니티 리더의 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체계적인 역량강화 프로그램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community leaders’ awareness of social capital based on interviews of two rural community leader groups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 leaders of two rural communities, and the linkages between the keywords derived through language network analysis were examined. As a result, structural social capital emphasized the role of lead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parency of community organization operations a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administration. Cognitive social capital emphasized the integrative role of the leader who can lead to trust, faith, and participation among community residents. The major contribution of this study in confirming that community leaders' awareness of social capital is equally important in both structural and cognitive aspects. Community leaders are somewhat lacking in terms of the structural and cognitive capacity of social capital.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III.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