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음식관광지로서 국내광역시에 대한 포지셔닝과 인식차이

Positioning of Food Tourism Destinations: Focusing on the Metropolitan Cites

음식관광을 통한 체험경제가 확대되고 중요해짐에 따라 각 지자체에서는 음식관광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음식축제를 개발하여 방문을 유도하고 있으나 음식관광지로서 다양한 지역의 인식을 비교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의 거주민이 국내 광역시를 음식관광지로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와 음식관여도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거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음식관광지로서 6대 광역시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였고, 포지셔닝을 통해 지역 유사성에 대한 차별성을 측정하고 시각화 하였다. 또한 음식관여도에 따라 고관여 집단과 저관여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별로 인식의 차이를 검증 하였다. 분석결과 부산광역시가 식재료인식, 식문화인식, 음식인식, 관광자원인식 요인 모두 다른 광역시에 비해 가장 높은 지역으로 확인 되었고, 대전광역시는 4가지인식 모두 가장 낮은 지역임이 확인 되었다. 지역 유사성 인식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를 비슷하게 인식하고 나머지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는 음식관광지로 차별적으로 인식한다기 보다는 별개의 지역으로 인식하고 있어 지리적으로 근접한 지역을 비슷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음식관여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음식관광지로서의 인식이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부산광역시를 제외하고 각 광역시 별 특화된 음식이나 지역음식축제의 인식이 서울특별시 거주민에게 크게 인식되고 있지 않음이 확인 되었다. 이에 행정담당자와 지역 산업관계자들이 협력하여 음식과 연계한 관광 상품을 개발하고 지역음식의 다양한 체험과 경험의 빈도를 높여 참여와 재방문을 이끌어 지역 음식관광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As the experience economy through food tourism has increased, local governments have developed various food festivals to encourage local economies through food tourism.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food tourism destin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eoul residents’ perceptions according to their food involvement and how they perceive the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as food tourism sites. For this purpose, visualization of the perceptions was accomplished through positioning and surveying the perceptions of the six metropolitan cities.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s of the six major metropolitan cities were verified and the perceptions differed among the high and low involvement groups according to food involve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usan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other metropolitan cities in food material recognition, food culture recognition, food recognition, and tourism resource recognition factors. Also,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high food involvement had a higher perception of food tourism sites than the group with low food involve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government officials and local industries should cooperate to develop tourism products linked to food and to promote local food tourism by encouraging participation and revisitation of people with high food involvemen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