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캐릭터 적용 아동특화객실의 실내코디네이션 선호 유형 연구

A Study on the Room Interior Coordination Preference Type of Kids Specialized Rooms with Character: Focusing on Using Q Methodology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캐릭터 마케팅을 적용한 아동특화객실의 실내코디네이션 선호도를 유형화ㆍ세분화하며, 그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만 1-6세 아동의 보호자 31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2019년 2월 1일부터 15일까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와 전문가 자문을 통해 실내코디네이션 구성요소를 범주화 하였고, 24개의 Q표본을 최종 선정하였다. Q 방법론을 활용한 분석결과, 캐릭터를 적용한 아동특화객실의 실내코디네이션 선호유형은 3개로 분류되었다. 제 1유형은 ‘안전한 놀이와 콘텐츠 체험 선호형’으로 아동의 놀이 활동에 대한 안전 욕구와 콘텐츠 체험 욕구가 강한 집단이다. 제 2유형은 ‘캐릭터 디자인 실내코디네이션 선호형’으로 객실 실내코디네이션에 캐릭터가 다양하게 적용되어 특별한 느낌을 받기를 선호하는 집단이다. 마지막으로 제 3유형은 ‘소품을 활용한 놀이 체험과 no-screen 선호형’으로 활동적인 놀이를 할 수 있는 하드웨어적 실내코디네이션은 선호하지만 콘텐츠 접근을 쉽게 하는 소프트웨어적 실내코디네이션은 선호하지 않는 집단이다. 새로운 연구방법을 통한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특화객실에 대한 주관성을 파악하여 객실 실내코디네이션의 선호유형을 분류하였고, 이론적ㆍ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resort room interior coordination preferences of kids’ specialized rooms adopting character marketing by using Q methodology an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ypes found. This study selected 31 parents of children aged one to six years old as a sample and interviewed them from February 1-15, 2019.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Q methodology show that there were three types of preferences for room interior coordination for kids. The first type was classified as “safe play and content experience preference,” which reflected a strong desire for safety and content experiences for children's activities. The second group, “character design interior coordination preference,” preferred to have a special feeling towards interior coordination applied with various characters. Finally, the third group, “play experience using small toys and no-screen preference,” preferred hardware-wise room interior coordination that enabled kids to play actively, as opposed to a software-oriented room interior coordination that makes them easily accessible to contents. These findings may contribute to develop a theoretical typology of kids’ specialized rooms based on their subjectivity,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