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외식기업의 자본구조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apital Structure on Firm Performance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본 연구는 외식기업들을 대상으로 자본구조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표본기업은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외식산업에 속한 30개 회사이며, 연구기간은 2010년부터 2018년까지이며, 표본은 기업-연도별 자료로 총 270개이다. 본 연구에서는 표본이 갖는 횡단면 자료와 시계열 자료의 특징을 고려하여 패널회귀분석을 도입하였다. 분석모형을 구성하는 종속변수는 기업성과의 대용치로서 주가, 총자산영업이익률 및 자기자본순이익률 등이며, 설명변수는 총부채비율, 유동부채비율, 비유동부채비율 등의 자본구조변수이다. 그리고 통제변수는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는 변수로 기업규모, 자본집약도, 기업나이, 성장률, 광고선전비를 선정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로서, 외식기업의 자본구조의 대용변수로 사용된 총부채비율은 주가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본구조 이론 중 상충 이론에 근거할 때, 외식기업들의 자본구조가 최적 자본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부채를 사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동안 국내 외식기업을 대상으로 자본구조와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가 미미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본 연구는 향후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공헌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pital structure and performance of firm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The sample in the study is firm-year data compiled from 30 food service industry firm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from 2010 to 2018. A panel regression model was used for analysis considering that the sample has properties of the panel data. Dependent variables in our model were the proxies for the firm performance, such as stock price, return on assets, and return on equity. Explanatory variables were capital structure, such as total liability ratio, current liability ratio, and non-current liability ratio. In addition, control variables were selected as variables that were deemed to affect the firm performance, such as firm size, asset intensity, firm age, sales growth rate, and advertising expenses. We found that capital structure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the financial and accounting performance of the firms. This implicates that,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trade-off capital structure, the firms use a relatively high level of debt compared to the optimal capital structure. Given that there have been few of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pital structure and corporate performance of firm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in Korea,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ctivating research related to this area in the futur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