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이선선택형 가상가치평가법을 이용하여 국립공원 한라산의 입장료 지불가치를 추정하는 데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 한라산 입장료 지불용의액을 결정하는 설명변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립공원 한라산을 방문한 국내 관광객을 대상으로 목적표본추출방법을 이용하여 2018년 8월부터 9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상가치평가법의 분석결과, 국립공원 한라산의 입장료 지불가치는 한번 방문 시 1인당 6,695원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2017년 국립공원 한라산의 총 방문객 수의 1일 기준으로 환산하면 연간 발생하는 총 경제적 가치는 67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로짓모델 분석결과 제시금액, 연령, 탐방예약제 찬반여부가 국립공원 한라산의 입장료 지불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설명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환경에 대한 태도를 직간접적으로 드러내 줄 수 있는 탐방예약제 찬반여부가 한라산 입장료 지불의도에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환경정책 도입 시에 필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ayment value of the Hallasan National Park admission fee using a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Particularly, we examined explanatory variables that can determine the willingness to pay the entrance fee of the Hallasan National Park. Using purposeful sampling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domestic tourists who have visited the Hallasan National park from August to September 2018. A total of 237 surveys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payment value of the Hallasan National Park admission fee was estimated as KRW 6,695 per person/visit and the total amount of economic value was KRW 67 billion per year. The result of the logit model revealed that bid, age, and agreement (or disagreement) of the reservation system are important explanatory variables in predicting the payment value of the Hallasan National Park admission fe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greement of the Hallasan National Park reservation system, which indirectly shows the attitude toward the environment, affects significantly the willingness to pay the park’s admission fee. The findings suggest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implementing environmental polic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