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1980년대 노동소설의 대중성에 주목한다. 노동소설에서 대중성은 노동계급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인 동시에 계급성의 이념을 일상에서 수용하게 만드는 문학적 실천의 방법론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1987년이라는 분기점을 고려하여 그 전후의 시기를 통합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1987년의 변화는 단절이 아니라 변화와 응전이라는 의미로 이해해야 1980년대 노동소설의 성격이 명확히 드러날 것이기 때문이다. 이택주의 『늙은 노동자의 노래』와 안재성의 『파업』은 본 연구의 주요 텍스트이다. 두 작품은 노동자의 주체성을 구성하는 방식에서 차별화된다. 이택주의 작품이 1970년대 노동운동의 역사성을 바탕으로 1980년대 노동운동을 재현했다면, 『파업』은 1970년대의 반성과 극복이라는 방향을 설정하였다. 안재성은 정치성을 전면에 내세워 계급으로서의 노동자라는 이념을 실천하려 했으며 학출 노동자와의 연대를 실천 방법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연대의 가능성은 노동자가 경험하는 일상 차원에서의 연대를 통해서도 가능하다. 이러한 가능성은 이념 우위의 노동소설에 내재한 대중성의 한 양상으로 읽힌다. 노동소설의 대중성 기획은 다양한 층위에서 동질성을 추구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감정적 내면은 노동자가 겪는 가장 현실적인 경험세계로, 이를 통해 형성된 현실감각은 노동소설의 문학적 완결성의 중요한 요소이다. 내면의 현실성은 노동자의 지식 체계, 즉 노동자 리터러시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노동자들은 일상 차원의 경험과 내면을 통해 1980년대 한국사회에서 유효하게 쓰일 노동계급적 지식을 생산했다. 또한 노동소설은 다양한 주변 양식과의 결합을 통해 시대의 요구에 맞는 리터러시가 생산되는 장면을 재현함으로써 노동소설의 대중성의 사유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focuses on popularity as a condition of working class literature in the 1980s. The popularity of working class literature is a component that constitutes the subjectivity of the working class and a methodology of literary practice that allows the ideology of class to be accepted in the daily life. In order to analyze this, the junction of 1987 should be noted. This is because the essence of working class literature in the 1980s will be revealed only when the period around 1987 is understood to mean change and response, not disconnection. Yi Taek-ju’s An old worker’s song and Ahn Jae-sung’s The strike are the main texts of this study. The two works are differentiated in the way they constitute the subjectivity of workers. While Yi Taek-ju’s work reproduced the labor movement in the 1980s based on its historicity from the 1970s, The strike set the direction of the ideology of reflection and overcoming. Ahn Jae-sung tried to practice the ideology of a worker as a class by putting politics at the forefront. In addition, solidarity with ‘Hakchul’(student-turned laborers) is presented as a practical method. However,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is also possible through solidarity or expansion at the daily life’s level experienced by workers. This possibility is read as an aspect of the popularity of working class literature. Popularity planning is developed in a way that pursues homogeneity at various levels. The inner world of emotion is the most realistic experience world experienced by actual workers, and the sense of reality formed through it is an important element of the inner completeness of labor novels as literature. In addition, the inner real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working class’s knowledge system, that is, “The Working class Literacy”. Workers produced working class knowledge that would be used effectively in Korean society in the 1980s through daily experience and inner life. Working class literature showed the reason for the popularity of working class literature by reproducing the scene in which literacy is produced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through defects with various surrounding popular art styles.
1. 1980년대 노동문학의 조건
2. 1980년대 노동소설의 대중성의 범주
3. 노동소설의 주체성 문제
4. 감정적 내면과 노동자 리터러시의 구성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