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일상생활권 내 호텔 선택속성, 지각된 가치, 만족의 인과관계 분석

Analysis of Causality of Hotel Selection Attributes, Perceived Values, and Satisfaction within the Usual Environment: Findings from Seven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그동안 관광객들의 호텔 선택속성, 지각된 가치, 만족 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이들 변수간의 종합적인 인과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였다. 한편 최근 스테이케이션, 호캉스 등과 같이 관광 또는 휴식 목적으로 일상생활권 내 호텔을 이용하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새로운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는 일상생활권 내 호텔 이용객을 대상으로 선택속성, 지각된 가치, 만족 간의 종합적인 인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7개 특별·광역시에 거주하며 관광목적으로 일상생활권 내 호텔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00명의 유효 표본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지각된 가치는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여러 선행연구에서 확인되었던 ‘선택속성 → 지각된 가치’, ‘선택속성 → 만족’ 변수간 인과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호텔분야 유사 주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다소 상이한 부분이다. 이 연구의 결과와 호텔분야 선행연구의 결과가 다소 상이한 이유가 일상생활권 내 호텔을 이용하는 계층의 특성 및 호텔 이용 목적의 특성 등에 있을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가 선행연구와 상이한 원인 등을 규명하고 일상생활권 내 호텔 이용객의 특성 등을 객관화․일반화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호텔이 호캉스 상품 등을 구성함에 있어 어떠한 요인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무적인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ourists' hotel selection attributes, perceived values, and satisfaction, studies that analyze the comprehens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have been insufficient. Recently, the use of hotels in usual environment for tourism or relaxation purposes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new trend, and this phenomenon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rehensiv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attributes, perceived values, and satisfaction for hotel guests in usual environment.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on people who lived in seven metropolitan cities, and had experience using hotels in usual environment for tourism purposes. A total of 300 valid sample data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erceived valu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However,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selection attributes → perceived values' and 'selection attributes → satisfaction', which were confirmed in several previous studies, were not confirmed. We suggest that the divergent findings betwe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the hotel sector are attribu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guests who use hotels in usual environment as well as the purpose of hotel us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what factors should be prioritized in hotel packages for guests in usual environmen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실증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