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국민들의 불안감과 피로감은 날로 쌓이고 있다. 정신적 문제는 곧 신체적 문제로 이어질 위험성이 높은데,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야외 공간에서의 활동이 적극 권장되고 있다. 특히 갯벌과 같이 드넓은 자연이 중심이 되는 야외환경은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과 스트레스가 높은 개인에게 심신 회복의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생태관광지로써 갯벌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코로나19에 대한 위험지각과 스트레스가 갯벌의 지각된 회복환경을 통해 정신적 웰빙과 갯벌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위해 국내에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2020년 1월 이후 갯벌 방문 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을진행하였고, 728명의 데이터를 2021년 6월에 온라인 설문조사로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코로나19 위험지각이 높을수록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도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코로나19 스트레스는 정신적 웰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갯벌에 대한 지각된 회복환경을 통해 그 영향력이 감소한다는 점도 드러났다. 셋째, 지각된회복환경은 정신적 웰빙과 갯벌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갯벌과 같은 자연환경의 방문을 독려하는 정책과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Individuals' anxiety and fatigue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as a result of the prolonged COVID-19 outbreak. Because mental illnesses frequently lead to physical illnesses, engaging in outdoor activities is highly recommended for resolving these issues. Individuals with high fear and stress from COVID-19 may benefit from natural environments such as wetlands, which can help them recover mentally and physically. As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effects of individuals' risk perception and stress caused by COVID-19 on their mental health, as well as revisiting their intention of visiting wetlands due to their perceived environmental restorativeness. In June 2021, an online survey of people who had visited wetlands since January 2020 was conducted. There were 728 questionnaires returned in total. The following are the study's findings. First, the risk perception of COVID-19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stress. Second, the perceived stress of COVID-19 has a negative impact on mental health, but this impact is mitigated by wetlands' perceived environmental restorativeness. Third, mental well-being and revisiting intention are positively influenced by perceived environmental restorativenes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a variety of policies and programs are required to encourage people to engage in outdoor activities in natural settings, such as wetland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국문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