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시뮬레이션 분만간호 교육의 효과
Effects of Virtual Simulation Education on Labour and Delivery care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2권 23호
-
2022.1261 - 72 (12 pages)
-
DOI : 10.22251/jlcci.2022.22.23.61
- 326

목적 본 연구는 가상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분만간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가상 시뮬레이션 분만간호 교육은 2일 동안 10시간 진행되었으며, 2021년 5월부터 8월까지 총 4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실험연구이고,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결과 가상 시뮬레이션 분만간호 교육 후 문제해결과정(T=-2.048, p=.044), 임상술기수행 자신감(T=-5.306, p<.001), 비판적 사고성향의 하위영역 중 탐구성(T=-2.079, p=.041)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가상 시뮬레이션 교육 후 비판적 사고성향은 문제해결과정(r=.879, p<.001), 임상술기수행 자신감(r=.684,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문제해결과정은 임상술기수행 자신감(r=.750,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결론 가상 시뮬레이션 분만간호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및 임상술기수행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다양한 가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al program using virtual simulation on labour and delivery care. Methods Virtual simulation education on labour and delivery care was carried out 10hours for 2days and data collection was from May to August 2021 a total of 40 student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used a one group pre-post design,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solving process(T=-2.048, p=.044), confidence of clinical practice(T=-5.306, p<.001), inquisitiveness among sub-domain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T=-2.079), p=.04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roblem-solving process(r=.879, p<.001) and confidence of clinical practice(r=.684, p<.001). The problem-solving proces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fidence of clinical practice(r=.750, p<.001). Conclusions The virtual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on labour and delivery care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solving process, and confidence of clinical practice, and provide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virtual simulation education program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