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2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목적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수몰입, 행복감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교수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서울 및 경기 지역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로 자아존중감, 교수몰입,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2022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설문지 227부를 SPSS 25.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자료분석 방법은 Pearson의 상관분석과 Baron과 Kenny의 매개효과 분석, 그리고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 행복감, 교수몰입은 전반적으로 중간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모든 변인들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설명력에서 교수몰입을 추가하였을 때 더 높은 설명력을 가지면서 교수몰입은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자아존중감과 교수몰입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하여 예비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과 교수몰입 경험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general trends of self-esteem, teaching flow, and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Methods A survey of childcar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as conducted to measure self-esteem, teaching commitment, and happines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 to April 30, 2022, and 22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5.0 program. The data 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with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Baron and Kenny's mediating effect analysis, and Sobel test.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self-esteem, happiness, and teaching flow of childcare teacher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middle,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When teaching flow was added in the explanatory power of self-esteem and happiness, it was found that teaching flow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happiness while having higher explanatory power. Conclusions The importance of self-esteem and teaching flow was confirmed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s to improve self-esteem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nd prepare measures to increase the experience of teaching flow.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