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2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자살위험군 노인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Research Trend on the Effectivenes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Older Adults in Suicide Risk: Focused on Quality Indicators

DOI : 10.22251/jlcci.2022.22.23.57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자살위험군 노인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에 대한 동향을 고찰하고, 향후 자살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국회도서관, KISS, Dbpia, RISS에서 ‘자살’, ‘노인’, ‘프로그램’, ‘중재’, ‘효과’, ‘영향’의 검색어로 검색하여 2000년부터 2021년까지 출판된 ‘자살위험군 노인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총 10편의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Gersten 외(2005)가 제시한 연구설계의 질적지표와 박애실 외(2022)가 제안한 자살위험군 대상 자살 예방 집단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출판된 논문의 수가 2019년도에는 증가한 경향을 보였으나, 코로나 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이후로 아직 한편도 출판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살위험군 선별방식은 우울 관련 검사와 자살생각 검사를 사용한 경우가 많았으며, 독립변인은 매체적 접근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절반을 차지하였다. 셋째, 종속변인은 자살생각 검사와 우울 관련 검사를 함께 사용한 경우가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넷째, Gersten 외(2005)가 제시한 실험설계 질적지표를 충족 여부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연구가 질적지표를 다수 충족하나 프로그램 내용타당도 확보, 운영자 정보기술, 프로그램 종결 이후 유지효과 측정,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질적 분석 병행 제시는 질적지표가 상대적으로 낮게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살위험군 대상 자살 예방 집단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살펴본 결과, 조망능력 함양과 정서조절 함양은 주로 포함하고 있으나, 안전계획수립, 대처기술향상, 치료적 관계 형성, 보호체계 형성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자살위험군 노인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in the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older adults in suicide risk and to present research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in the future. Methods To this end, keywords such as ‘suicide’, ‘older adults’, ‘program’, ‘intervention’, ‘effect’, ‘effectiveness’ were searched i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KISS, Dbpia, and Riss and 10 studie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older adults in suicide risk’ published from 2000 to 2021 were analyzed based on the qualitative indicators of the research design proposed by Gersten et al. (2005) and the components of the suicide prevention program for suicide risk groups proposed by Park et al. (2022). Results First, the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increased in 2019, but none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breakout of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Second, the method of screening suicide risk groups often used depression tests and suicidal ideation scales, and programs using media access accounted for half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Third, the majority of dependent variables were suicide ideation scales and depression test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or not Gersten et al. (2005) meets the quality indicators, most of the studies met the quality indicators, but the quality indicators were relatively low in the following areas: securing program content validity, operator information, measuring maintenance effect after program termination, and presentation of the qualitative analysis of program effectiveness.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mponent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it was found that the following areas were insufficient: establishing safety plans, learning coping skills, forming therapeutic relationships, and forming a protection system.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the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older adults in suicide risk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