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대학생 및 졸업생이 인식하는 전공선택 결정요인과 전공변경 의도 및 전공 만족과 전공몰입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Choice Decision, Intention to Change Major, Major Satisfaction and Major Commitment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s in Seoul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2권 23호
-
2022.12955 - 972 (18 pages)
-
DOI : 10.22251/jlcci.2022.22.23.955
- 417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의 최초 전공선택 결정요인과 이후 전공 변경 의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전공 만족과 전공몰입의 매개효과를 추가로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시 거주 남녀 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총 설문지 310부 중 응답 누락이 있거나 동일 응답을 반복하는 등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11부를 제외하고 299부를 최종 통계분석에 활용하였으며, spss 통계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 매개효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전공 선택 결정 요인의 하위 요인 중에서 개인적 요인, 장래성 요인은 전공 만족, 전공 몰입, 전공 변경 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공 선택 결정 요인으로서 개인적 요인이나 장래성 요인이 높아질수록 불필요하고 부정적인 전공 변경 의도를 낮추는 긍정적 심리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전공 만족과 전공 몰입은 전공 변경 의도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 선택 결정 요인의 하위 요인 중에서 개인적 요인, 장래성 요인과 전공 변경 의도 사이에서 전공만족과 전공몰입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수인 전공 만족도와 몰입도가 높아질수록 궁극적으로 부정적인 전공 변경 의도를 낮추는 효과와 연관됨을 추론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첫째, 실제 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전공에 대한 만족 및 몰입 수준을 높이고 전공 변경 의도를 최소화하는데 필요한 핵심 변수를 제시하여 효과적인 전공 및 진로, 미래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학술적 시사점이 있다. 둘째, 최근 대학입학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른 우수 인재 유치 전략의 필요성과 대학 경쟁력 및 경제성 제고를 위해 소속 대학생의 전공 만족도와 몰입도를 향상시키는 실무적 정책 수립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cision factors of the first major Choice of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and the intention to change major, and further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nd major commitment in this process. Methods For this purpose, 299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except 11 copies of the total 31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hich were missing or repeated the same responses, an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Results First, personal factors and future factors among the sub-factors of major choice decision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major commitment, and major change intention. This means that as the factors of major choice decision are higher in personal factors or future factors, it can act as a positive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lowers unnecessary and negative major change intentions. Second, major satisfaction and major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major change intention.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major choice decision factors, major satisfaction and major commitment played a full mediating role between personal factors, future factors and major change intentions. The higher the degree of major satisfaction and commitment, which are parameters, the more it can be inferred that it is ultimately related to the effect of lowering the negative major change intention. Conclus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possible to use the core variables necessar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and immersion level of the majors recognized by actual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and to minimize the intention to change the majors, an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ffective majors, careers, and future design. Second, the necessity of attracting talented people due to the recent decrease in the number of college entrance age population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practical policie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and immersion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enhance university competitiveness and economic efficiency.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