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횡단자료에 기초하여 정적인 네트워크 구조 파악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공급네트워크를 동적 프로세스인 복잡적응시스템으로 인식하면, 공급네트워크 구조의 진화를 탐구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다. 본 연구는 한국 자동차산업 공급네트워크의 위계적이고 수직적인 구조가 어떠한 미시적 동인으로 인해 수평적 구조로 진화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의 2009년, 2014년, 2018년 한국자동차산업편람 데이터로 확률적 행위자기반 모형을 추정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한국 자동차산업 공급네트워크에는 지속적으로 신규업체 유입이 늘어났다. 둘째, 전통적 공급네트워크 구조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새로운 거래 관계(예. 쌍방향 거래 관계)가 증가하였다. 셋째, 성과가 높은 공급업체는 기존 거래 관계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거래 관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자동차산업 공급네트워크에 확률적 행위자기반 모형을 처음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피라미드 구조에 기반한 수직적․선형적 관계 연구를 네트워크 관점으로 확장하였다. 둘째, 횡단면적 분석에 그쳤던 기존 연구와 달리, 공급네트워크의 동태적인 진화를 파악하였다. 반면 본 연구에 활용된 한국자동차산업편람은 한국자동차산업의 모든 공급업체를 포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보다 포괄적인 데이터에 기반하여 한국자동차산업 공급네트워크 구조와 진화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Most studies on the supply network structure have focused on revealing the “stationary’ network structure based on cross-sectional data. However, when the supply network is defined as a complex adaptive system that is a dynamic process,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explore its structure and evolution.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how and through which micro-mechanisms the traditional vertical structure of the Korean automotive industry supply network is evolving into a horizontal structure. The results confirmed that new firms were continuously entering the Korean automotive industry supply network, and transaction relationships that were not found in the traditional supply chain structure were increasing. Additionally, among the existing suppliers, high-performing suppliers continued to form new transaction relationships while maintaining existing relationship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SAOM was applied to the supply network of the Korean automotive industry for the first time, and the existing vertical and linear relationship studies were expanded from a network perspective. Furthermore, unlike the existing supply network-related studies, which were limited to an analysis at a specific point in time, the dynamic evolution of the supply network was identified.
Ⅰ. 서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Ⅴ.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