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가속화된 언택트(Untact)시대에 새로운 마케팅수단으로 자리 잡은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아이돌 마케팅 성공요인을 수용미학적 관점을 통해 분석하였다.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아이돌 마케팅 사례분석과, 문헌적 연구를 통한 수용자인식 분석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 연구 범위 및 대상을 걸그룹 블랙핑크(Black Pink)의 제페토 활용 마케팅으로 제한하였다. 분석결과 원활한 소통, 직접적인 체험가능, 공간적 한계극복, MZ세대와 해외사용자 공략, 수익창출 총 다섯 가지의 요인이 그 성공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success factors of idol-marketing through the metaverse platform, which has become a new marketing tool in the era of untact(Non-Contact) accelerated by COVID-19.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idol-marketing cases by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and the analysis of acceptance recognit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or more in-depth research, the target of the study were limited to the marketing using Zepeto by the K-Pop girl group 'Black Pink'. Result of the analysis was confirmed by the five factors which includes smooth communication, direct experience, overcoming spatial limitations, targeting the MZ generation and oversea users, and lastly generate revenue was served as success factors.
1. 서론
2. 사례분석
3. 수용자분석
4. 성공요인
5.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