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전근대 화폐의 성격을 다시 확인하고 이를 통해 조선후기 화폐가 유통된 원인과 그 결과에대해 새롭게 규명하였다. 역사적으로 화폐는 자본주의가 시작된 이후 경제적 의미의 교환수단으로 널리활용되었다. 하지만 전근대 화폐의 경우 근대의 화폐와 비교할 때 실제 유통과 그 역할이 매우 달랐다. 특히 전근대 화폐의 경우 그 목적이 정부의 재정정책과 맞물려 있는 경우가 많았고 이러한 면모는 17 세기 조선의 화폐유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과서와 한국사 개설서에소개된 조선시대 화폐의 기능을 재정적인 측면에서 점검하여 전근대 유통의 양상과 그 성격을 바로잡고 이해의 새로운 방식을 제공하였다.
This paper confirmed the nature of pre-modern currency and examined the causes and results of currency circul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Since the beginning of capitalism, money has been widely used as a medium of exchange for economic reasons. However, in the case of pre-modern currency, the background of commerce was very different, and the nature of the currency that mediated it was inevitably limited. Therefore, in the case of pre-modern currency, the purpose was often linked to governmental fiscal policy,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Joseon, it is remarkable compared to other East Asian countries. There are many areas that cannot be well interpreted in the way that Joseon's monetary policy was explained in textbooks and Korean history textbooks for the lay person and non-academics. Therefore, this paper was prepared to check and correct the explanation of the function of money in the Joseon Dynasty from a financial perspective and provide a new way of understanding.
1. 서론
2. ‘상품 화폐경제’틀 속 화폐의 성격과 문제점
3. 전근대 화폐의 다양한 기능
4. 재정이익의 관점에서 본 상평통보의 효용성
5. 민간 차원의 동전활용
6.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