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부모와 자녀의 게임 인식 차이에 따른 갈등 해소 모델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Conflict Resolution Model based on Differences in Parents and Children’s Game Perception

  • 37

게임을 이용하는 청소년에게 부모의 부정적인 게임 인식과 제한적 중재는게임 이용 시간 조절과 밀접하게 관련 있다. 게임에 대한 인지적 요소가 부모와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녀는 인지부조화 상태를 경험하게 되고, 태도나행동을 변화시키거나 무시하여 갈등 상황을 해결하고자 노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온라인게임은 타 미디어와 달리, 부모의 제한적 중재 전략에도 불구하고, 이용 시간이 줄어들지 않는 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인지부조화갈등상태를 해결하기 위해 취하는 전략에 관한 모델을 설정하고, 설문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검증하였다. 청소년은 부모의 의견을 부정하거나왜곡하는 인지적 태도를 보였고, 제3자 효과 지각을 통해 부모와 스스로를동일 집단으로 분류하지 않고, 게임에 대한 노력을 정당하여 게임 이용 시간을조절하지 않았다. 따라서, 청소년의 온라인게임 이용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부모가 제한적 중재 전략을 취하기보다는 게임 플레이를 지지하여 청소년의죄의식을 경감시키는 노력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For adolescents who use the game, parents’ negative game perception and restrictive mediation are closely related to controlling game time. This is because the cognitive factors of the game do not match the parents, and the child experiences cognitive dissonance and efforts to resolve conflict situations by changing or ignoring attitudes or behaviors. However, unlike other media, online games have a characteristic that, despite their parents' restrictive mediation strategies, their usage time was not decreased. In this study, a model for strategies that adolescents take to resolve the state of cognitive dissonance conflict was established and verified based on survey data. The youth had a cognitive attitude of denying or distorting their parents' opinions, did not classify themselves as the same group through third-person perception, and did not adjust game use time by justified efforts toward the game. Therefore, it was explained that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game playing the youth, parents support of the gameplay to mitigate the guilt of the youth rather than taking a restrictive mediation strategy was effectiv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