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기억투쟁의 정석과 변혁적 정의를 위하여

For the Standard of the Struggle of Memory and Transformative Justice

  • 42

이 책은 형제복지원 사건이 “왜(Why)” 그리고 “어떻게(How)” 가능했는지, 형제복지원을 “왜”, “어떻게” 운영했는지에 관심이 있다. 피해생존자 모임은말할 것도 없고, 대책위원회나 언론과 방송, 기존의 연구들 모두 형제복지원안에서 “무엇(What)”이 벌어졌는지에 관심을 둔다는 점에서 이 책은 특별하다. 이 책 자체는 형제복지원의 공식기억을 위한 사회기억이다. 이 책이 기록한 활동들은 공식기억을 위한 기억투쟁의 정석이다. 피해생존자들의 인지해방, 활동가로의 변화, 대책위와 관계 변화, 언론과 방송의 보도를 활용한과정은 광주 5 ․ 18이나 제주 4 ․ 3의 기억투쟁과 비교해도 다른 바가 없다. 나아가 앞으로 기억투쟁을 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모범이 되는 정석이기도하다.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세 가지다. 첫째, 응보적 정의를 위한진실규명이다. 둘째, 피해자와 가해자가 화해할 수 있는 회복적 정의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세 번째다. 이 책은 다시는 이런 사건이 일어나지 않도록사회구조를 바꿀 수 있는 변혁적 정의를 제안한다.

The book is interested in why and how “Hyoungje Welfare Institution” case was possible, and why and how Hyoungje Welfare Institution was run. The book is special because all of the victims' groups, task force, media and broadcasting, and existing studies are concerned only about what happened within the welfare program. The book itself is a social memory for the official memory of Hyoungje Welfare Institution. The activities recorded by this book are the standard of the struggle of memory for official memory. The victims' groups, task force, media and broadcasting of Hyoungje Welfare Institution case is no different from that of the Gwangju 5 ․ 18 or Jeju 4 ․ 3. Furthermore, it is a standard for those who want the struggle of memory in the future. There are three things that this book says. First, it is a truth-finding for retributive justice. Second, it is a restorative justice for victims and perpetrators to reconcile. But most important thing is the third. The book proposes a transformative justice that can change the social structure to prevent such cases from happening again.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