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268003.jpg
KCI등재 학술저널

표본추출틀에 따른 선거여론조사의 정확성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Evaluation of Election Poll by Sampling Frame

DOI : 10.37727/jkdas.2022.24.6.2185
  • 51

선거에 있어서 사전 여론조사 결과와 실제 선거결과를 직접 비교하는 것은 조사와 투표의 시점, 대상, 분석방법 등 여러 요인들 때문에 어려움이 많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선거여론조사의정확성 평가 측면에서 Martin, Traugott, Kennedy(2005)가 고안한 두 결과의 주요 두 후보에 대한조사결과(예측값)와 실제결과(득표율)의 오즈비(odds ratio)를 적용한 척도 A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화조사에 이용하는 표본추출틀에 따라 조사결과의 정확성에 차이가 있는지에 관심을 두고 무선전화 100%와 유무선 비율 크기에 따른 이중추출틀간에 편향이 있는지, 그리고 있다면 그 크기는 어느 정도인지를 오즈비 척도 A에 기초해서 분석하였다. 2022년 제 8회지방선거의 광역단체장 선거조사 149개로 제한된 데이터이지만, 무선 100% 조사와 유무선 비율에 따른 이중추출틀을 이용한 조사 간에 편향의 측면에서 뚜렷하고 체계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이중추출틀에서 최적의 유선비율을 찾기 위한 분석에서는 유선 10% 범주에서 편향의 절대값 평균 크기가, 10%미만의 범주에서 편향의 평균 크기가 상대적으로 좀더 작은 것으로나타났다. 제한적 데이터와 한번의 분석 시행, 여타 고려할 변수들 등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일반화하기에는 성급하지만, 선거여론조사의 정확성 향상과 그 순기능의 확장을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추가 연구분석의 필요성이 주어진다.

In order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pre-election survey, measure A (Martin et al., 2005), the adjusted odds ratio between the forecasted results of the survey and the actual election result of the two major electoral candidates, is widely used in recent practices. This study focuses on whether the accuracy of the pre-election survey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telephone survey’s sampling frame, and studies whether the bias from the dual frame approach can be different in terms of the mobile and the landline proportion in sampling, using measure A. I analyzed 149 pre-election survey data from the 8th Local Election in 2022. Even with the limited size of the data, there is no distinct and systematic differences between the dual frame approach and the mobile-only approach in terms of bias mean size and bias direction, but the bias case rate of the mobile-only is more high than the dual frame. Furthermore, in the analysis of the mobile-landline proportion optimization, the sampling frame categories with equal to 10% landline proportion resulted in a relatively small mean of absolute bias and so did the category with less than 10% in the mean of bias.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data, just one trial of analysis, and other accountable factors, the generalization of these findings is premature.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analysis with systematic and synthetic methodology is needed to prolong the positive effects of this study.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