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268003.jpg
KCI등재 학술저널

웰다잉(well-dying) 교육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죽음과 웰다잉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well-dying education program 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death and well-dying

DOI : 10.37727/jkdas.2022.24.6.2379
  • 153

본 연구는 웰다잉(well-dying)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과 타전공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웰다잉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웰다잉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설계는 두 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연구 대상은 최종 간호대학생 55명, 타전공대학생 52명이었으며, 연구 기간은 2021년 10월 4일부터 10월 11일까지로 주 1회 1시간씩 2주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ired t-test, Repeated measured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대상자는 죽음에 대한 인식의 하위영역인 ‘죽음에 대한 불안(F=4.92, p=.029)’, ‘죽음에 대한 부정(F=10.03, p=.002)’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죽음에 대한 관심도(F=13.91, p<.001)’, ‘죽음에 대한 긍정도(F=29.17, p<.001)’, ‘죽음에 대한 생명존중의지(F=5.80, p=.018)’와 ‘웰다잉에 대한 인식(F=11.11, p=.001)’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그룹 별 차이로 간호대학생은 ‘죽음에 대한 관심도(t=2.92, p=.005)’, ‘죽음에 대한긍정(t=5.06, p<.001)’, ‘생명존중의지(t=2.26, p=.028)’, ‘웰다잉에 대한 인식(t=2.67, p=.010)’ 향상에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며, 타전공대학생은 ‘죽음에 대한 부정(t=-2.91, p=.005)’, ‘죽음에 대한 관심도(t=2.35, p=.023)’, ‘죽음에 대한 긍정(t=2.62, p=.012)’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을 대학생을 대상으로 확대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에 활용될 수 있을것이다.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to confirm the effect of a well-dying education program on the perception of death and well-dying among college students.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well-dying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youth. The study design was a two-group pre-post design, an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55 nursing students and 52 non-nursing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4 to October 11, 2021, once a week for 1 hour for 2 weeks and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repeated measured ANOVA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e participan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nxiety of death', and 'Denial of death'. A well-dying education program's beneficial effect significantly improves 'Interest of death', 'Positive of death', ' Will to respect life', and 'Perception of Well-dying' in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by group differences, nursing students had ‘Interest of death’, ‘Positive of death’, and ‘Will to respect life’ and ‘Perception of Well-dy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College students in other majors had ‘Denial of death’, ‘Interest of death’, and ‘Positive of death’ had significant effects. Based on this study, the well-dying education program can be expanded and applied to college students, which can be used to change the perception of death and well-dying among them positively.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