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꼴의 네모틀 모양 및 삐침이 한글 낱자와 단어에 대한 시각 탐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quared and Serif Fonts on Visual Search for Korean Letters and Word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4 No.6
- : KCI등재
- 2022.12
- 2395 - 2410 (16 pages)
본 연구는 한글 글꼴의 대표적 시각 특성인 네모틀 및 삐침 여부가 한글 낱자 및 단어에 대한 시각 탐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실험 1에서는 한글 낱자가, 실험 2에서는 두 음절 단어가 탐색 자극으로 사용되었으며 두 연구 모두 표적에 특정 글꼴이 부여된 경우 방해자극은 그와반대되는 특성을 가진 글꼴을 가지도록 처치하여 탐색 정확도와 탐색 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탐색 항목의 개수를 4, 8, 12개로 달리해 이에 따른 탐색 수행의 변화 역시 측정했다. 그 결과두 실험 모두 네모틀 표적(탈네모틀 방해자극)에 비해 탈네모틀 표적(네모틀 방해자극)을 탐색하는 것이 그리고 삐침있는 표적(삐침없는 방해자극)에 비해 삐침없는 표적(삐침있는 방해자극)을탐색하는 것이 더 수월했으며, 이러한 수월성은 탐색 항목의 개수가 4개일 때보다 8개 이상일때 더 분명했다. 또한 낱자를 사용한 실험 1에 비해 두 음절 단어를 자극으로 사용한 실험 2에서 글꼴이 탐색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이는 탈네모틀과 삐침없음 글꼴을 보유한 표적에 대한 탐색이 일반적으로 수월함을 의미하며 더 나아가 네모틀과 삐침 글꼴이 한글 낱자 및 단어의시각적 현출성에 영향을 줄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quared and serif fonts, which are representative visual properties of Korean fonts, on visual search for Korean letters and words. Korean letters and two-syllable words were used for search stimuli in each Experiment 1 and 2, and in both experiments, the distractors were manipulated to have the opposite font characteristic against the characteristic of a target while search accuracies and RTs were measured. The number of search items also varied to 4, 8, and 12 along which the search performance was measured. The results of both experiments showed it easier to search for a target without a squared font (among distractors with it) than the target with the squared font (among distractors without it), and to search for a target without serifs (among distractors with them) than the target with the serifs (among distractors without them), and these advantages were more evident in larger setsizes. The influence of font characteristics was also greater in Experiment 2 where two-syllable words were used for search stimuli than in Experiment 1 for a single Korean lett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arching a target without a square shape or serifs would be generally easier, and further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square and serif fonts can influence visual saliency of Korean letters and 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