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학술대회자료
제주의 미래사회, 미래 교육의 설계 방향 - 교육행정적 접근 -
간행물 정보
- 제주학회
- 제주학회 학술대회발표 논문집
- 제주학회 2022년 제55차 전국학술대회 발표집
-
2022.1277 - 92 (16 pages)
저자
- 이용수 21

키워드
초록
등록된 초록 정보가 없습니다.
목차
등록된 목차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29)
- Metagenomic sequencing and image analysis of autonomous reef monitoring structures (ARMS) for identifying crustose coralline algae (CCA) communities in coast of Jeju Island, South Korea
- 제주 수산가공부산물의 바이오 소재 활용 촉진에 관한 연구
- 제주 용암해수를 용매로 한 감태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 축사
- 프로그램 및 목차
- 제주관광과 방문자 경제
- 제주산 Spirulina maxima유래 추출물의 치매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 아스타잔틴이 붉바리(Epinephelus akaara)의 카로테노이드 흡수관련 유전자와 체색변화에 미치는 영향
- The potential of nutrient budget in macroalgal community exposed to land-based aquaculture farm discharge off Jeju Island, Korea
- 개회사
- 제주 연안 부유물질의 변동과 원인 규명을 위한 연구
- 인문학에서 본 제주의 미래사회 : 제주의 오래된 미래
- 광 조건에 따른 제주산 해양 미세조류(Spirulina maxima)의 세포 생장과 광합성 색소의 변화
- 제주의 미래사회, 미래 교육의 설계 방향 - 교육행정적 접근 -
- 제주도의 환경자산과 생물자원의 현황과 미래를 논하다
- 가축분뇨를 활용한 미세조류 배양 및 바이오매스의 활용 가치
- Carbon-free Island, Jeju 계획의 성과와 의의
- 제주연안에서 침강입자의 시기적 변화
- Changes in physiological responses of Ulva spp. to nutrient gradient in Jeju Island, Korea
- 해양수산생명산업 분야 미래를 논하다
- 제주의 그린바이오 산업 - 제주TP 생물종다양성연구소 연구 소개 -
- 제주도시주거의 미래, '올래형 공동주택'
- 제주-일본 교류 2천년의 역사와 미래
- 붉바리(Epinephelus akaara) 자어의 성장단계에 따른 소화관 발달
- Autonomous Reef Monitoring Structures를 활용한 제주의 해양생물다양성 모니터링
- 용암해수 추출물을 활용한 제주 식물의 항산화 효능 비교
- 김치에서 분리한 Bacillus coagulans 당근 잎 발효물의 함염증 효과
- 붉바리(Epinephelus akaara) 자어의 간췌장 발달
- 붉바리, Epinephelus akaara 자어의 성장에 따른 지느러미 발달과 형태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