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간-온도 곡선 개발을 위한 환기계수와 화재하중을 고려한 실규모 화재 실험
- 권오상 강현
- 한국화재소방학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Vol.36 No.5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10
- 11 - 18 (8 pages)
구획공간에서의 시간-온도 곡선의 개발은 성능위주 화재안전 설계에서 기본이 된다. 개발을 위한 주요한 인자로는 환기계수와 화재하중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시간-온도 곡선의 개발을 위해 화재하중과환기계수별 실규모 화재실험을 진행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실규모 화재실험은 2.4 (L) m × 3 .6 (W) m × 2 .4 (H) m크기의 구획 Mock-up에서 두 가지 형태(A type: 2.2 (L) m × 2.0 (H) m, B type: 2.2 (L) m × 1.0 (H) m)의 단일 개구부를 적용시키고 화재하중은 162.4 (1st) MJ/m2와 194.6 (2nd) MJ/m2로 설정하였다. 목재 크립을 가연물로 사용하여 두단으로 배치시키고 하부에는 소량의 햅탄풀을 초기 점화원으로 사용하고 내부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최대 온도는 구획 내부의 천장부에서 측정되었으며, 평균 최대 온도는 A Type 형태의 1번째에서 354.8 ℃로 나타났고 2번째에서는 507.1 ℃로 나타났고 B Type의 1번째에서 570.0 ℃, 2번째에서 612.5 ℃로 나타났다.
Obtaining time temperature curves is critical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compartments that are designed for safe –operation in the event of a fire accident.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time temperature curves are ventilation factor and –fire load. In this study, a real-scale fire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considering the fire load and ventilation factor forobtaining time temperature curves. In the real-scale fire experiment, two types (A-type: 2.2 (L) m × 2.0 (H) m and B-type: –2.2 (L) m × 1.0 (H) m) of single openings were applied to a section of mock compartment (dimensions: 2.4 (L) m × 3.6(W) m × 2.4 (H) m), and the f ire loads were set to 162.4 (1st) and 194 .6 (2nd) MJ/m2. Wood cribs, u sed as combustibles,were placed in two types, and a small heptane pool was used as an initial fire source at the bottom. The temperature changeinside the compartment was measured, and the ceiling showed the maximum temperature. An average maximum temperatureof 3 54 .8 a nd 5 07.1 ° C was measured for t he 1st a nd 2 nd f ire loads at A -type opening, r espectively, w hereas a veragetemperature of 570.0 and 612.5 °C was measured for the 1st and 2nd fire loads, respectively, at B-type opening.
1. 서론
2. 실규모 화재실험 방법
3. 실규모 화재실험 결과
4. 환기계수를 고려한 시간-온도 예측 분석
5. 결론
후기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