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공장과 같은 플랜트는 설비 노후화 등으로 인해 사고 위험성이 높다. 이러한 사고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여러 기준에서 배치 및 이격거리 제한을 두고 있으며, 보호시설이 있을 경우에는 방호벽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강판구조의 방호벽은 재질상의 특성으로 인해 대형화재시 복사열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석유화학 플랜트에 설치된 강판구조의 방호벽을 선정하고, KS F 2257-1 표준화재 곡선으로 가열하였다. 그 결과, 복사열 및 온도상승으로 인한 화재발생 가능성과 인명피해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Owing to infrastructure obsolescence, petrochemical plants possess a high risk of accidents. Various restrictions andregulations exist on the structural arrangement and separation distance to reduce the risk of damage from such accidentsand to encourage the use of fire walls in building structures. Currently, steel fire walls require revision because theirmaterial properties induce the production of radiant heat during a large fire, which can cause casualties. In this study, steelfire walls from an actual petrochemical plant were heated to follow a “KS F 2257-1” standard fire curve. Consequently,the possibility of fire and human damage due to heat flux and temperature changes were evaluated.
1. 서론
2. 복사열 및 온도에 따른 화재안전성 평가
3. 플랜트 방호벽 내화실험
4. 표준화재에 노출된 플랜트 방호벽의 복사열 특성
5. 결론
후기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