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화탄소 센서의 비화재 감지 효과성 분석
Effectiveness Analysis of Unwanted Fire Alarm Using Carbon Monoxide Sensors
- 한국화재소방학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Vol.36 No.5
-
2022.1040 - 50 (11 pages)
-
DOI : 10.7731/KIFSE.56c9f690
- 이용수 81

초록
빈번한 비화재경보를 발하는 연기감지기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일산화탄소 센서를 적용하였다. 화재 및 비화재시의 감지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표준(UL 268) 화재⋅비화재 시험 기준과 실제 비화재보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산화탄소 센서의 비화재보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는 이미 여러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으나, 제도적으로 감지 효과를 인정받기 위해서 다양한 화재 조건과 비화재 조건에서의 일산화탄소 감지 농도 데이터를 확보하고, 비화재와 화재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일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 carbon monoxide sensor was applied with smoke detectors, which trigger unwanted fire alarms, to improve detectionreliability. Standardized fire and unwanted fire tests according to UL 268 and scenario-based tests for unwanted fire alarms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etection effectiveness in fire and unwanted fire situations. Studies on improving unwantedfire alarms using carbon monoxide sensors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However, additional concentrationmeasurements using carbon monoxide sensors in various fire and unwanted fire conditions should be performed forinstitutional approval of detection effectivenes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that can clearly distinguish unwanted fires from actual fir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및 문헌검토
3. 시험장 구축
4. 실험 방법 및 조건
5. 실험 결과
6. 결론
후기
References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6)
- 굵은 골재 영향을 고려한 고온 이력을 받은 콘크리트의 UPV 및 탄성계수상관관계 분석
- 열복사 감쇠 성능에 대한 미분무 노즐 설치 조건의 영향 검토
- 보관 환경이 다른 목재 종의 화재위험성 등급 평가 및 예측
- 시간-온도 곡선 개발을 위한 환기계수와 화재하중을 고려한 실규모 화재 실험
- 전기매트 리콜제품 유통현황 조사 및 안전성 실험을 통한 문제점 분석
- 산불로 인한 비화발생 시 비상소화장치를 활용한 건축물의화재 예방에 관한 실험적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6 No.5 목차
- 연기색상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 화재시 플랜트 방호벽의 복사열 영향 평가에 대한 실험적 연구
- 공기호흡기와 공기충전실 관리체계 및 직업환경 개선을 위한 델파이 연구
- 덕트화재 예방을 위한 국내외 기준 및 실태 분석
- 화재대응 취약지역 해소를 위한 비상소화장치 위치선정
- 연기감지기 감도시험 기준의 개선에 관한 연구
- 안정적인 소화용수 공급을 위한 소방전술 개선에 관한 연구
- 일산화탄소 센서의 비화재 감지 효과성 분석
- 소방차량 진입곤란 지역의 소방호스 배낭 효과성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