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6 No.5.jpg
KCI등재 학술저널

화재대응 취약지역 해소를 위한 비상소화장치 위치선정

Location Selection for Installation of Emergency Firefighting Devices to Resolve Vulnerable Areas to Fire Response

DOI : 10.7731/KIFSE.4bdd491c
  • 43

본 연구는 화재대응 취약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비상소화장치의 추가 설치 후보지 및 우선순위 도출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크게 3가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GIS 공간분석을 통한 화재대응취약지역 분석, 둘째 화재대응 취약지역 내 건축물 현황 분석, 마지막으로 비상소화장치 추가설치 위치선정 및 우선순위 도출이다. 본 연구는 좁은 골목이 많아 소방차량의 출동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상남도 창원시마산 일대를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대상지 적용결과 대상지 내 건축물 중 1,563개소(2.80%)의 건축물이 골든타임 내 화재대응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물의 밀도 및 용도를 바탕으로 비상소화장치 설치의 후보지 선정및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로 제시된 후보지 10개소에 비상소화장치를 추가 설치할 경우, 화재대응 취약지역 내 건축물 569개소(36.40%)의 화재대응에 도움이 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비상소화장치 위치선정 기준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we aim to propose a methodology for determining priorities and sites for additional installation ofemergency firefighting gear, so as to address areas vulnerable to fire response.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first part involves using GIS spatial analysis for analyzing areas vulnerable to fire response, the second part involves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buildings in these vulnerable areas, and the third part involves selecting locations forinstalling emergency firefighting devices and establishing priorities. Masan, Changwon-si, Gyeongsangnam-do, Korea, whichis considered a difficult location for dispatching fire trucks due to the presence of several narrow alleys, was selected asthe study area. A total of 1,563 (2.80%) buildings from the area were determined as vulnerable to fire response inside thecritical time window. Based on the density and function of buildings, the potential locations and priorities for the installationof emergency firefighting devices were determined. It was ascertained that 569 buildings (36.40%) in areas vulnerable tofire response could be aided during a fire if additional emergency firefighting devices are installed in the 10 selectedlocations. Going forwar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basic research aimed at establishingstandards for placement of emergency firefighting equipment.

1. 서론

2. 비상소화장치 위치선정을 위한 이론적 배경

3. 분석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후기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