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 도매소업을 하는 장소에서 화학물질 누출에 의한 피해 발생 범위를 예측하기 위하여 해당장소에서 가장 많이 보관하는 물질 4가지를 선정하였다. 누출량을 50 ㎘씩 증가시키며 메틸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은 누출량 100 ㎘, 톨루엔은 160 ㎘까지 증가시키며 확인하였다. 화학물질의 확산거리를 확인하기 위하여 해당 지역의 최근 10년 평균 기온과 풍속, 풍향, 습도 등을 적용하여 총 92개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시나리오는 ALOHA Air Dispersion Models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독성 관련하여 각 물질의 PAC-1, PAC-2, PAC-3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화재 발생 가능 범위는 연소하한계의 농도가 유지되는 것으로 하였다. 일반적인 조건에서 동일량이 누출의 경우 연소하한계, PAC-1은 톨루엔에서 가장 멀리까지 농도가 유지되나, PAC-2, PAC-3는 메틸알코올이 더 위험거리가 길게 나타났다. 또한, 누출량에 의한 확산거리는 로그함수적인 증가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물질의 독성농도 및 물리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일부 물질의 PAC-Level은 균일하게 확산되지 않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물질의 확산폭도 물질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화학물질을 저장 취급하는 장소에서의 피해범위 예측은 해당장소에 저장된 물질에 대해 모두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동시에 물질의 확산거리 외에도 물질의 확산폭도 같이 고려하여 방재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To predict the extent of damage caused by leakages at a place where chemicals are wholesaled, four of the most commonly stored substances in the corresponding place were selected. Leakage volumes were increased by 50 ㎘, and methyl alcohol, ethyl acetate, and methyl ethyl ketone were confirmed by increasing the leakage volume to 100 ㎘ and to 160 ㎘ for toluene. A total of 92 scenarios were created by applying the region’s average temperature, wind speed, wind direction, and humidity over the last 10 years to confirm each substance’s diffusion distance. The prepared scenario was analyzed by applying ALOHA air dispersion models. Regarding toxicity, criteria were analyzed based on each substance’s PAC-1, PAC-2, and PAC-3 concentration, and a fire occurrence possibility range was used to maintain the concentration of the lower flammable limit. Under normal conditions, in the case of the same amount of leakage, the concentration of the lower flammable limit and PAC-1 was maintained farthest from toluene, but the danger distance of methyl alcohol was farther in PAC-2 and PAC-3. Results showed that the diffusion distance increases the log function with the amount of leakage. However, owing to the substances’ toxicity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PAC levels of some substances showed non-uniform results. In addition, diffusion widths differed for each substance. Therefore, to prescribe countermeasures for chemical leakages in storage locations, all substances being stored must be checked.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must also be established by considering not only diffusion distances of the substances but also their diffusion widths.
1. 서론
2. 선정배경 및 이론적배경
3. 시나리오 및 피해예측
4. 피해예측 및 결과분석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