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 내 연료 특성 분석을 통한 산불 위험도 예측
Predicting Forest Fire Danger Using Fuel Characteristics of Forest
- 한국방재학회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22권6호
-
2022.12125 - 132 (8 pages)
-
DOI : 10.9798/KOSHAM.2022.22.6.125
- 113

산불예보시스템을 구성하는 중요한 인자 중 하나는 산림 내 연료특성이며 이를 분석하는 것은 산불 크기 및 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20년 1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강원도 영동지역과 영서지역의 지역별 산림 내 연료량에 따른 산불강도를 예측해 산불위험도를 나타냈으며, 연료 조건에 따라 지표화에서 수관화로 발생할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영동지역이 영서지역보다 산림 내 지표층의 연료량 및 연료 구조에 차이로 인하여 산불의 강도가 크며, 산불 발생시 수관화로 형성될 가능성이 높았다. 산림연료의 지역별 특성을 분석하여 예측되는 산불의 강도 및 형태를 분석하는 산불관리가 필요하다.
The fuel characteristics of a forest are important factors in designing a forest fire danger rating system and must be analyzed to understand forest fire behavior. Therefore, in this study, forest fire intensity was predict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fuel in the forests in the Yeongdong and Yeongseo regions of Gangwon-do from November 2020 to December 2021. The possibility of forest fire occurrence, from surface fire to crown fire, was analyzed depending on the fuel conditions. Regiona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mount of fuel and the fuel structure of the surface layer in the forest. The intensity and type of forest fire changed according to these differences. The Yeongdong area is more susceptible to crown fires and more intense of surface fire than the Yeongseo area. These results show the need to prevent early forest fires by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s in different regions and analyzing the intensity and type of forest fire predicted.
1. 서론
2. 연구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