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형 지진파에 의한 지반증폭 특성에 따른 세종시 부지구역화에 관한 연구
Microzonation of Sejong City Area Based on Site Amplification Generated by Pohang-Type Seismic Waves
- 한국방재학회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22권6호
-
2022.12263 - 271 (9 pages)
-
DOI : 10.9798/KOSHAM.2022.22.6.263
- 56

지진발생 시 지반의 거동은 지진파의 특성(파형)과 토층의 상태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를 고려하기 위해 국내·외 내진설계 기준에서 지반응답해석에 사용될 입력지진파는 설계응답스펙트럼에 상응하면서 해당 단층의 특성을 반영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 기반암 위치에서 계측된 포항 지진파를 수정·생성한 설계지진파를 이용하여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하였다. 세종시 120개 지반조사 위치에서 포항형 지진파에 대한 세종시의 지표면최대가속도, 지반증폭비 그리고 고유주기에 대한 위험도지도 작성을 통해 지진발생 시 상대적으로 큰 지진하중을 경험할 수 있는 개략적 건물 층수 지도를 결정하였으며, 연구로부터 결정된 위험도지도를 통해 지진발생 시 구조물에 가해지는 지진재해 정도를 미리 파악하여 건축물 점검 우선순위 또는 내진보강 우선순위를 선정함으로서 지진피해를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hen an earthquake occurs, the behavior of the ground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seismic wave characteristics (waveform) and soil layer conditions. In local and international seismic design standards, it is recommended that the input seismic wave should correspond to the design response spectrum and reflect the fault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ground response analysis was performed to satisfy the seismic design standards using modified design seismic waves generated by the Pohang seismic waves measured at the bedrock location. The peak ground acceleration, ground amplification ratio, and natural period of Sejong-si for Pohang-type seismic waves were determined using the Sejong-si 120 site exploration results. From a plotted risk map, a map of floors that could experience relatively large seismic loads during an earthquake was determined. Based on the risk map plotted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prepare for earthquake damage in advance by identifying the degree of seismic damage to a structure when an earthquake occurs and selecting the building inspection or seismic reinforcement priority.
1. 서론
2. 지반응답해석을 통한 세종시의 부지구역화
3. 지반증폭 특성에 따른 세종시 부지구역화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