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저수지의 예·경보를 위한 계측기 설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tallation of Measuring Instruments for Early Warning of Small-scale Reservoirs
- 한국방재학회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22권6호
-
2022.12321 - 330 (10 pages)
-
DOI : 10.9798/KOSHAM.2022.22.6.321
- 8

기후변화로 인해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연속적인 폭우 등으로 인하여 2015년부터 2019년까지 101개의 저수지 붕괴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은 저수지 조기경보 및 예·경보 시스템의 운영과 유지관리 효율성의 극대화를 위해 현장상황에 맞는 계측기를 선정하고 적절하게 배치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6개소의 소규모 저수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저수지 제체 내에 중앙점토 코어 존의 존재 유무에 따른 침투수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저수지 파이핑 붕괴 예측을 위하여 제체 하류사면 길이(L)에 대한 습윤길이(l)를 산정하여 습윤비율((l/L)은 50%를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검토되어 계측기기의 위치를 선정하는데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Climate change is causing the collapse of 101 reservoirs due to localized torrential rains and continuous heavy rains. To minimize the damage to human life and property, this article focuses on selecting appropriate local instruments for the efficient maintenance and proper arrangement of these instrument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early warning and predictive warning systems. In this study, six small-scale reservoirs were studied, and two cases were considered and compared, namely an embankment with a central clay core and a simply earth-filled embank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o predict the collapse of the reservoir by piping, it was considered appropriate to apply 50% of the wetness ratio (l/L) by calculating the wet length (l) on the length (L) of the downstream slope of the embankment. Finally, a methodology was presented for selecting the location of the measuring device.
1. 서론
2. 저수지 붕괴 피해현황
3. 저수지 체제사면 안정성 검토
4. 계측기 위치선정
5. 결론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