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가사 및 돌봄 노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검토한다. 특히, 임금근로와 자영업 여성뿐만 아니라 전업주부를 분석 표본에 포함하여 여성의 경제활동 유형에 따라 가사와 돌봄 노동시간 배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여성의 소득 증가는 가사 및 돌봄 노동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임금근로자 여성에게서 상대적으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기혼 여성의 근로시간 증가는 가사 노동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돌봄 노동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가정 내 성역할에 대해 보다 전통적인 가치관을 가진 여성일수록 가사 노동에 더많은 시간을 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통적 가치관이 돌봄 노동시간에 미치는 영향은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기혼 여성의 가사 및 돌봄 노동시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요인은 가정 내 미취학 아동의 수로 나타났다. 특히, 전업주부의 경우 미취학 아동의 수가 한 명증가할 때 무급노동시간이 증가하는 효과가 임금근로 및 자영업 여성보다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확산 이후 기혼 여성의 가사 노동시간은 확연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돌봄 노동에 있어서는 전업주부의 평일 돌봄 노동시간이 소폭 증가한 것 외에는 특별한 변화를 찾을수 없었다. 본 연구는 여성의 가정 내 무급노동을 설명하는 기존 이론들을 좀 더 다양한 변수들과다년간의 자료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 in unpaid household and care work of married women in Korea. We classify the type of economic activity into out-of-labor force(housewife), wage and salary worker, and the self-employed and then analyze the differences in unpaid household and care work of married women according to the type of economic activity. Ou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crease in the labor income of married women has a negative impact on their unpaid housework hours and this negative impact is more significant in wage and salary workers than the self-employed. Second, the working hours of married women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household work but not with care work. Third, traditional women in gender roles are more likely to spend more time in housework than non-traditional women. Fourth, the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o increase housewife’s household and caring work. Lastly, we confirm that the COVID-19 pandemic has increased substantially the household work of married women but we cannot find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it on care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