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질적 메타분석 방법을 통해 여성 목회자의 다양한 스트레스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주요 키워드를 통해 검색된 346건의 연구물 중 최종 9건을 선정하여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두 가지 의미 범주 및 여섯 가지 핵심 개념을 도출하였다. 첫 번째 의미 범주는 ‘목회 현장의 말할 수 없는 이야기’로 연구참여자들은 ‘미묘하지만 분명한 차별’, ‘갈등적 관계’, ‘불평등한 처우로 인한 재정적 어려움’으로 교회 안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두 번째 의미 범주는 ‘가정이라는 무거운 숙제’로 이들은 ‘서로 다른 우선순위’, ‘일-생활양립으로 소진’, ‘독신으로서의 고충’으로 스트레스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논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결혼한 여성 목회자의 경우한국 사회 기혼여성이 대체로 경험하는 것처럼 일-생활 갈등으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회 내에서 여성 목회자는 소수자 집단으로 미묘한 차별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 목회자는 교회 안팎에서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고 있지만, 높은소명 의식으로 이러한 정서를 쉽게 표출하지 못하는 자기 억압적 성향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여성인 목회자가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예방할 수 있는 제도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이들이 다른 어느 집단보다도 스트레스에 취약한 집단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multi-layered aspects of the stress experience of female pastors.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after nine out of 346 studies were selected. As a result, two semantic 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ree core concepts were derived respectively. First semantic category is ‘Stories that can not be said in the ministry field’ and second semantic category is ‘The burden of the family.’ It was found that female pastors are experiencing various kinds of stres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The discussion presen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married female pastors experience stress due to work-family conflict, as most married women experience in Korean society. Second, female pastors experience microaggression as a minority group within the church. Third, female pastors experience negative emotions from stress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but those emotions are not easily expressed.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institutional measures to prevent their stress and it confirmed that they are vulnerable group to stress. Lastly, the limitation of the study was stated, and the experience of overcoming the stress of female pastors was suggested as a follow-up research top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