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중심 STEAM 놀이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한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대화 및 의사결정
Dialogue and decision-making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volved in developing child-centered STEAM play projects
본 연구에서는 유아를 위한 STEAM 교육에서 유아의 놀이가 강조되고 존중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전문학습공동체를 구성하였다. 유아중심 STEAM 놀이 프로그램 개발에서 가장 중점을 두었던 부분은 ‘유아의 발현된 놀이’ 와 ‘교육적 의도를 가진 STEAM교육’의 조화 및 균형을 실천할 수 있는 내용을 개발하는 일이었다. 대화 및 의사결정에 참여한 연구자는 유아교육을 전공한 박사 수료생 2인 및 해외 교원 자격증을 소지한 미술작가 1인이다. 본 연구는 2022년 4월부터 2022년 9월까지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논의된 사안들을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중심의 STEAM 교육 및 STEAM 교육에서 놀이를 강조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두 가지 측면에서 그 의의를 논의하였다. 첫째, 본 고의 발현적 교육의 정의 문구 ‘나타나거나, 나타나게 하거나, 나타난 결과’ 를 기준으로써 비교 및 논의하였다. 둘째, 전문적 학습공동제의 다른 관점 조율의 의미, 대화 상대자와 공유 지점 구성, 공유된 비전 및 공동의 실천방안 모색의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organized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ith the intention to develop a program where children's play is emphasized and respected in STEAM education for children. The focus of this study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centered STEAM play program was to create content for performing the harmony and balance between “manifested play for children” and “STEAM education with educational intention.” The investigators participating in the conversation and decision making were two experts who had completed the doctor's cour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one artist with an overseas teacher' s license. This study reports the results, centering on the issues discussed in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from April 2022 to September 2022.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five results were pres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implication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emphasize play in children-centered STEAM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implication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emphasize play in children-centered STEAM education. First, they were compared and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words to define emergent education in this study, “results that appear, that have it appeared, and have appeared.” Second, the discussion was conducted in terms of the meaning of coordinating other perspective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e formation of shared points with conversation partners, and the search for shared visions and communal action plan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